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지혜의 빛 : 인문학의 숲]
Philosophy는 "지혜를 사랑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어휘에 대한 동아시아의
번역어는 "철학(哲學)"인데, 여기서
'철(哲)'은 기본적으로 '밝음'을 뜻함
과 동시에 '지혜로움'을 뜻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 채널 이름은 지
혜로 세상을 밝게 한다는 의미의
“지혜의 빛"이며, 이와 관련된 인문
콘텐츠들로 인문학의 숲을 이루고
자 합니다. 이러한 우리 채널에 대
해 많은 관심 부탁드릴게요.🖋
👉주제 신청 방법 :
최신 영상 댓글란에 적어
주시면 참고하여 반영하
겠습니다.
📲비즈니스 문의 : [email protected]
(이 주소는 비즈니스 목적 외의 다른 성격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담당 스텝이 '제목', '내용' 등을 본 후 자체 판단하여 전달하고 있으니 이용에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채널 후원 : 콘텐츠 하단,
"Super Thanks"
를 통해 가능합니다.

왜 붓다에게 복을 비는가? - 불교와 기복신앙의 문제

인도에서 불교는 왜 소멸했고 부활했는가?(feat. 통합본)

언어학 개론 : 언어란 무엇인가?

반야심경(般若心經) : 260자에 불교의 지혜를 응축시킨 경전

하이데거는 과연 나치의 부역자였나?(feat. 한나 아렌트)

인간을 '실존'으로 파악한 하이데거와 야스퍼스, 이들의 서로 다른 철학(통합본)

프랜시스 베이컨의 신기관(Novum Organum) : 근대철학과 영국 경험론의 시작

인도철학 입문 : 베다(Veda)를 계승한 사상과 이를 부정하는 사상의 대립(feat. 정통6파철학, 불교, 자이나교, 바라문교, 육사외도, 힌두교)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불교를 얼마나 이해했을까?(통합 버전)

공부란 무엇인가?(feat. 선불교, 쿠키영상)

초역 붓다의 말 : 불교 사상을 자신의 지혜로 삼는 법(feat. 연기론, 사성제)

노자철학 입문 : 도덕경을 알기 위해 반드시 만나야 하는 지식

유교(儒敎)의 죽음에 대한 해석은 서양철학과 어떻게 다른가?(feat. 신체에 대한 죽음의 해석)

니체의 아침놀 : 도덕적 편견을 몰아낼 희망의 태양을 기다리며

한스 가다머 : 당신에 대한 나의 해석은 언제나 옳은가?(feat. 진리와 방법, 철학적 해석학)

붓다는 역사적 실존 인물인가? 신화 속 가상 인물인가?

천주교(Catholic)와 개신교는 무엇이 다른가?

면죄부에 얽힌 종교개혁의 숨겨진 진실(feat. 마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이슬람과 기독교는 같은 신을 믿는가?

조지 오웰의 ⟨1984⟩에 담겨 있는 핵심 메시지 : 전체주의와 자아 상실의 문제(feat. 스탈린, 비트겐슈타인)

철학사의 주요 개념 - 존재론의 두 가지 개념으로 철학사 파악하기(feat. 파르메니데스, 플라톤, 하르트만, 사르트르)

손자병법(孫子兵法) : 나를 지켜 당신을 살리는 철학(feat. 노자의 도덕경)

붓다의 침묵 : 불교 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feat. 윤회와 무아의 문제)

붓다의 침묵에 숨겨져 있는 불교 사상의 진실(feat. 침묵에 숨겨진 논리적 이유)

칼 융: 분석심리학(feat. 프로이트,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자기원형, 집단무의식)

쇼펜하우어 : 당신의 삶이 허무할 때 죽음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feat.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오컴의 면도날 : 진리를 만나려면 단순해져라!(feat. 달 착륙 음모론, 판스페르미아)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Is Buddhism a Religion or a Philosophy?)

장 폴 사르트르 : 존재와 무(feat. 통합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