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이렇게 쉬웠나?...대중과 소통하는 '페임랩' / YTN
[新 직업의 발견 160715] 과학과 대중을 잇는 소통 창구,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사로 잡아라 '페임랩 코리아'
크로노그래픽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인터뷰] '대중 과학'은 무엇인가요? 과학과 SF 소설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과학관은 어떤 일을 하는 곳인가요? - 윤아연 연구사 『과학은 지금』
마이크로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패러다임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화학 대중화 & 대중 화학화 3 | 과학 대중화의 딜레마 f. 광운대 장홍제 교수
[궁금한S] 과학을 통해 대중과 소통한다…과학 커뮤니케이터 '마이클패러데이' / YTN 사이언스
일제강점기, 대중에게 과학을 알린 사람 [#핫클립] / YTN 사이언스
과학의 기적, 머리카락보다 작은 나노 바이올린!
알마 메이터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바이오그래픽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한국물리학회 대중강연 라이브: 양자과학기술의 이해
70년대 이전_과학잡지로 본 대중과학 키워드1_박상준 서울SF아카이브 대표
[2020과학문화전문인력] 대중과 과학을 하나로, 친철한 과학저술가씨
과학잡지로 본 대중과학키워드 QnA_박상준 서울SF아카이브
대중과학서 쓰기 사례3 : 실패 없는 대중과학서 집필의 기술과 자세 (원종우)
유레카! — NARR8의 인터렉티브 대중과학 매거진
[네트워크Re 시민강좌] 과학 큐레이션, 과학이 대중을 만나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