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파티마병원] 혈관조영 및 중재적시술 80,000례 달성
2024 KSIN SIC 신경중재 하계집중코스 부츠모양 전교통동맥 웹색전 Q&A
KSIN SIC 신경중재 하계집중코스 부츠모양 전교통동맥 웹색전
다 막힌 후에 뚫으려 하고, 다 터진 후에 막으려고 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좋은삼선병원 뇌혈관센터 신경외과 전문의 최윤혁 과장
[부평세림병원] 뇌신경계 치료 전문, 2 신경과 홍순호 과장님을 소개합니다!
[메디컬 인터뷰] 건강보험의 문제점을 통해서 필수의료 문제, 지역의료 공백의 원인을 이해하고 의대증원 이슈까지 그 해법을 같이 생각해 봅니다 [부천순천향병원 이은혜 교수편]
[뇌동맥류] 영상 관찰 중 크기가 커지면, 파열 위험도가 얼마나 올라갈까요? 커졌다고 다 파열되는 것은 아니다?
[뇌동맥류] 비파열 뇌동맥류가 있는데, 수면 내시경, 전신마취 각종 수술 위험하지 않을까요?
[뇌혈관과 흡연] 전자담배는 일반담배와 비교하여 덜 해로울까요? (서울아산병원 금연클리닉 조홍준 교수님)
[뇌동맥류 전문가용] 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 기술
[뇌동맥류] 건강한 뇌동맥, 안정된 뇌동맥류 만들기에 좋은 식재료... 뭘 먹으면 좋을까요?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뇌혈관 치료를 머리를 열지 않고 혈관 안으로 치료(신경중재치료, 뇌혈관내치료) /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임용철
[뇌동맥류] MRA 등 영상 검사에서 뇌동맥류로 오인되기 쉬운 경우 (흔한 가짜 뇌동맥류 영상 소견) (대담: 송윤선, 서배선)
[뇌동맥류] 비파열 뇌동맥류, 저위험으로 영상 관찰하자고 하는데, 정말 괜찮을까요?
[뇌동맥류] 코일색전술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제3편 (최종편) 스텐트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송윤선 교수)
[뇌동맥류] 코일색전술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2편 스텐트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색전술 사례 (송윤선 교수)
[뇌동맥류] 코일색전술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1편 코일만으로 시행하는 색전술 사례 (송윤선 교수)
[신경중재 전공의강의] 뇌혈관 질환의 신경중재시술(Neurointervention) 영상의학과 전공의와 신경계 전임의를 위한 입문 강의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이덕희 교수)
[뇌혈관협착증] 뇌경색의 예방: 신경중재술을 통한 뇌혈관협착의 치료. 제4편 척추동맥 협착의 치료 (권보성 교수)
[뇌혈관협착증] 뇌경색의 예방: 신경중재술을 통한 뇌혈관협착의 치료. 제3편 기저동맥 협착의 치료 (권보성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