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임강의 50강. 형(刑) : 형은 해치거나 손상시키는 흉신이므로 사과삼전에 일간을 형하는 오행이 보이면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권 17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146 ~ p152
하권 6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59 ~ p77
하권 2강 : 정단시간을 통해서 피점자가 찾아온 용건과 길흉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하권 5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 p55 ~ p58
하권 9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102 ~ p106
육임강의 19강. 인사(人事)의 진퇴굴신(進退屈伸)
하권 3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 양신(陽神)과 음신(陰神)의 관계
하권 18강 : 육임정단의 핵심포인트
하권 24강 : 고조격, 삼전체생, 삼전체극에 대한 내용 이해, 간지상신에서 모두 설기하는 경우와 사기(死氣)가 있는 경우, p174 ~ p177
하권 11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110~ p117
육임강의 44강. 묘신(墓神) : 사과삼전에 묘신이 보이면 일간의 기운이 꽉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된다.
하권 4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52 ~ p55
육임강의 6강. 육임정단의 간단개요 2. (앞으로 배울 내용 소개)
하권 19강 : 삼전(三傳)의 길흉분석 -p153 ~ p157
육임강의 17강. 주객(主客)분별과 일진의 길흉분석
하권 36강 : 삼전의 오행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 p256 ~ p263
하권 15강 : 사과(四課)의 길흉분석 -p135 ~ p139
육임강의 48강. 공망(空亡) 2 : 공망은 공허하고 무력한 상이므로 모망사는 이루지 못하지만 흉한 일은 작게 끝낼 수 있다.
육임강의 16강. 정단팔문의 내용과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