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충주인 구술사 조사사업][충주와 사람들 Vol.2] 이덕우 기억 속의 제1회 전국 축구선수권 대회 우승 에필로그
[2024년 충주인 구술사 조사사업][충주와 사람들 Vol.2] 이덕우와 이석운이 기억하는 수안보와 수회국민학교 축구부
[2024년 충주인 구술사 조사사업][충주와 사람들 Vol.2] 일신산업 동양활석광업소 탐광조사과의 김경배와 목벌동 이야기
정용학 충주시의원 "저출산 극복 위해 통합모자보건센터 설립 필요"
정용학 충주시의원 "통합모자보건센터 설립 필요"
[충주학 연구 VOL.3] 충주읍성 일대 지역성과 역사문화자원 면적 보존 및 연계 활용방안 _ 강민경(충북연구원 연구원)
[충주학 연구 VOL.3] 1907년~1938년 충주지역 화재발생과 충주 소방조의 활동 _ 김상욱(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연구위원)
[충주학 연구 VOL.3] 충주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와 국권회복운동에서의 의미 _ 이용철(충청남도청 주무관)
[충주학 연구 VOL.3] 포모대(泡母臺) 전승의 역사성 고찰 : 중원소경(中原小京)의 여인이 충주목(忠州牧)의‘ 선녀’가 되기까지 _ 윤태양(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수료)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종합토론 _ 이성호(충주학연구소장), 조범희(충청북도 학예연구사), 최형국(수원시립공연단 상임연출), 김의환(충북대학교 교수)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충주의 무장 이광악과 임진왜란 _ 이근호(충남대학교 교수)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충주 탄금대 전투와 신립 _ 이상훈(육군사관학교 교수)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임진왜란 초기 충주지역 전황과 조웅의 의병활동 _ 유동호(육군군사연구소 선임연구원)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임진왜란 다시 보기 _ 민덕기(청주대학교 명예교수)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2024년 충주문화총서_충주의 철학과 사상 발간 기념 강연회
[제3회 충주학 학술세미나] 충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 : 종합토론
[제3회 충주학 학술세미나] 충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 : [주제발표3] 충주지역 문화콘텐츠 진흥의 새로운 방향성 _ 정제호(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수)
[제3회 충주학 학술세미나] 충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 : [주제발표2] 충주지역 문화콘텐츠로서 문화자원 활용 연구 _ 신호림(국립안동대학교 교수)
[제3회 충주학 학술세미나] 충주 문화콘텐츠의 현재와 미래 : [주제발표1] 충주지역 문화콘텐츠 정책 현황 및 특징 _ 이재민(대전세종연구원 세종지역학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