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의 역사'발간 기념 강연] 철 생산의 중심지 충주 _ 어창선(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장)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충주학 연구 VOL.1] 충주고구려비의 판독과 건립 목적 _ 나유정(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 수료)
[충주학 연구 VOL.2] 조선 후기 충주 사족의 서원활동 : 누암서원을 중심으로 _ 안다미(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
[충주학 연구 VOL.3] 충주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와 국권회복운동에서의 의미 _ 이용철(충청남도청 주무관)
[충주학 연구 VOL.1] 전통시장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고찰 _ 박건우(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교수)
[충주학 연구 VOL.3] 충주읍성 일대 지역성과 역사문화자원 면적 보존 및 연계 활용방안 _ 강민경(충북연구원 연구원)
[충주학 연구 VOL.1] 조선 후기 은일 공간으로서의 충주 _ 이새롬(한국국학진흥원 전임연구원)
[2024년 충주인 구술사 조사사업][충주와 사람들 Vol.2] 이덕우 기억 속의 제1회 전국 축구선수권 대회 우승 에필로그
[충주학 특별 학술세미나] 임진왜란과 충주의 무장 : 임진왜란 초기 충주지역 전황과 조웅의 의병활동 _ 유동호(육군군사연구소 선임연구원)
전국 최초 지학연구소 신설! 원주 향토사 발굴에 새로운 지평을 열 원주학 연구소
청주시정연구원 설립 본격화…“자율·독립성 필요” / KBS 2023.01.17.
국보·보물의 보고 충주…연구 과제도 많아 / KBS 2022.07.01.
['충주의 역사'발간 기념 강연] 조선 후기 충주진영 _ 서태원(목원대학교 교수)
[2024년 충주인 구술사 조사사업][충주와 사람들 Vol.2] 충주비료공장 기술양성소 4기생 기계과의 손경주 과장
[제1회 충주학 학술세미나] 삼국 이전 충주지역의 정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