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청정,七淸淨,sattavisuddhi/M.24
각묵스님 - 초기불교의 이해 (65회). 칠청정(七淸淨)이란 무엇인가.
7청정에 이르는 길 3(견청정)-진용스님
7청정에이르는길 1(계청정)- 아짠 빤냐와로(진용스님)
불교대학/대주스님/아함경 제32강/칠청정(七淸淨)/위빠사나 수행에 따른 10가지 번뇌 십관수염[十觀隨染]/9가지 위빠사나 지혜/
7청정에 이르는 길 7(지견청정)-진용스님
1-3 초기불교 청정도론 | 빠알리 삼장을 이해하는 나침반 | 칠청정 | 니까야와 아함 | 제1장~13장 [청정도론 3 (1-3)]
초기불교이해 각묵스님 직강 40 제29장 칠청정 제30장 윤회1
삼사칠증사 법사이운 #통도사 #보살계산림
[BTN뉴스] 테라바다 불교 입문서 '청정도론' 한글 번역본 발간
4-2 초기불교 청정도론 | 나는 누구인가 | 참나 진아 대아 | 오온 | 해체해서 보기 | 제14장 [청정도론 3 (4-2)]
6-2 초기불교 청정도론 | 세상의 기원, 태초, 빅뱅 | 업과 윤회에 대한 의심 | 작은 수다원 | 청정도론 4 (6-2)
5-3 초기불교 청정도론 | 법으로 해체하지 않으면 백발백중 개념에 속는다 | 마음은 찰나적 존재 | 제14장 | 청정도론 3 (5-3)]
5-4 초기불교 청정도론 | 89가지 마음 | 업과 과보 | 제14장 | 청정도론 3 (5-4)]
10-1 초기불교 청정도론 | 느낌을 가진 인공지능 로봇 | 느낌은 괴로움으로 귀결된다 | 22근 | 청정도론 제16장 | 청정도론 3 (10-1)]
8-1 초기불교 청정도론 | 6처 12처 | 나, 세상, 존재란 무엇인가 | 청정도론 제15장 | 청정도론 3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