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50개
Автор: Wordrow
Загружено: 28 февр.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1 344 просмотра
불교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불교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50개]
1) 無盡藏(무진장): (1)다함이 없이 굉장히 많음. (2)덕이 넓어 끝이 없음. 닦고 닦아도 다함이 없는 법의(法義)를 이른다.
2) 諸行無常(제행무상):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3) 以心傳心(이심전심):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뜻이 통함. ≪전등록≫에 나오는 말로 원래는 불교의 법통을 계승할 때에 쓰였다.
4) 寂滅之道(적멸지도): 열반에 이르는 도리라는 뜻으로, ‘불교’를 달리 이르는 말.
5) 愛別離苦(애별리고): 팔고(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괴로움을 이른다.
6) 灰身滅智(회신멸지): 몸을 재로 만들고 지혜를 없앤다는 뜻으로,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
7) 不立文字(불립문자): 불도의 깨달음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것이므로 말이나 글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말.
8) 生老病死苦(생로병사고): 불교(佛敎)에서 인간(人間)이 반드시 겪어야만 한다는 네 가지 고통(苦痛), 즉 태어나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의 고통(苦痛).
9) 三千世界(삼천세계): 소천, 중천, 대천의 세 종류의 천세계가 이루어진 세계. 이 끝없는 세계가 부처 하나가 교화하는 범위가 된다.
10) 百八煩惱(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11) 凡聖不二(범성불이): 범인과 성인은 둘이 아니다는 뜻으로, 사람은 범인과 성인의 구별은 있지만, 본성은 일체 평등하다는 불교 용어.
12) 開示悟入(개시오입): 부처가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중생이 진리를 열고, 보고, 깨닫고, 그 길에 들게 하는 일이다.
13) 自業自得(자업자득):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
14) 輪廻轉生(윤회전생):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15) 生老病死(생로병사):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고통.
16) 他生之緣(타생지연): 타생의 인연(因緣)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낯모르는 사람끼리 길에서 소매를 스치는 것 같은 사소(些少)한 일이라도 모두가 전생(前生)의 깊은 인연(因緣)에 의(依)한 것임을 이르는 말.
17) 善男善女(선남선녀):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불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18) 無量無邊(무량무변): 헤아릴 수 없고 끝도 없이 많음을 이르는 말.
19) 極樂往生(극락왕생):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20) 去者必反(거자필반): 가버린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불교의 윤회 사상에 의거해 '會者定離(회자정리)와 함께 만물의 운명은 계속해서 돌고 돈다는 의미.
21) 生生世世(생생세세): 몇 번이든지 다시 환생하는 일. 또는 그런 때. 중생이 나서 죽고 죽어서 다시 태어나는 윤회의 형태이다.
22) 排佛崇儒(배불숭유): 불교(佛敎)를 배척(排斥)하고 유교(儒敎)를 숭상(崇尙)하는 일.
23) 懺悔滅罪(참회멸죄): 참회의 공덕으로 전생에 지은 죄를 없앰.
24) 阿鼻叫喚(아비규환): (1)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5) 曼陀羅供(만다라공): 진언종에서, 만다라를 공양하는 일. 또는 그런 법회.
26) 不生不滅(불생불멸): (1)죽지도 살지도 아니하고 겨우 목숨만 붙어 있음. (2)생겨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고 항상 그대로 변함이 없음. 모든 존재의 실상을 이른다.
27) 灰斷(회단): 무여열반(無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
28) 殺生禁斷(살생금단)
29) 因果應報(인과응보)
30) 茶毘(다비)
31)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32) 阿鼻地獄(아비지옥)
33) 玄籍(현적)
34) 頓悟漸修(돈오점수)
35) 兔角龜毛(토각귀모)
36) 三昧境(삼매경)
37) 空手來空手去(공수래공수거)
38) 出離生死(출리생사)
39) 西方淨土(서방정토)
40) 虛無寂滅(허무적멸)
41) 自繩自縛(자승자박)
42) 他界(타계)
43) 拈華微笑(염화미소)
44) 生者必滅(생자필멸)
45) 戒身(계신)
46) 蓮花世界(연화세계)
47) 拈華示衆(염화시중)
48) 長者萬燈(장자만등)
49) 行住坐臥(행주좌와):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고 하는 일상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50) 無始無終(무시무종): (1)천주의 소극적 품성을 나타내는 말. (2)시작도 없고 끝도 없음. (3)우주의 근본 이치인 대아(大我)와 심체(心體)는 시작도 끝도 없이 항상 존재함. 진리 또는 진여(眞如)가 무한함을 이른다.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불교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