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가마우지 집단서식처 대청호 거북섬 Freshwater Great Cormorant Habitat, Daecheongho Turtle Island 새끼들울음 둥지 포란 알껍질
Автор: 华伯
Загружено: 7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89 просмотров
민물가마우지 집단서식처 대청호 거북섬
Freshwater Great Cormorant Habitat, Daecheongho Turtle Island
일명 모자섬
거북섬의 나무들은 민물가마우지의 배설물로 고사
사진작가들의 전망 포인트
명상 정원 인근 사진 작가들이 좋아하는
전망 좋은 곳 치유의 섬(고래섬, 새똥섬)으로 옮겨갔다가
최근에는 거북선 간너 편 산지로 옮겨온 것
관동묘려 이곳에도 유별난 먹성을 가진 민물가마우지가
많은 배설물을 쏟아내는 까닭에 서식지 일대가
또 다시 하얗게 변하는 백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민물가마우지둥지 모습에 포란 장면이라든지
알에서 깨어난 새끼 가마우지의 울음소리를 담았습니다.
힐링의 시간이었답니다.
둥지에서 떨어진 가마우지 알의 모습
깃털이며 배설물로 인한 백화현상 현장을 접사촬영하였답니다.
국명 정명
민물가마우지
학명 정명
Phalacrocorax carbo (Linnaeus, 1758)
영어명칭
Great Cormorant
이명 향명
갯가마우지
노자 鸕鶿
더펄새
カワウ
명칭유래
검은 뜻의 '가마'와 깃털을 뜻하는 '우지'가 더해진 이름
분류
사다새목 가마우지과 가마우지속
육식성 철새
생태
사다새목 가마우지과에 속하는 조류로
매우 흔한 겨울철새고, 드문 텃새이다.
몸길이
약 82cm. 암수의 형태는 유사하며,
몸 전체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다.
부리
기부는 노란색이며, 흰색 뺨이 만나는 부분은
동그스름하다.
여름깃
여름깃은 다리 위쪽에 흰색의 반점이 생기며,
뒷머리와 뒷목에 털 모양의 흰색 깃털이 있다.
먹이
호수, 강, 바닷가에서 잠수하여 어류를 주로 먹는다.
이동
기러기처럼 일정한 대형으로 무리 지어 난다
둥지
나무에 무리 지어 번식하며 나뭇가지와
마른풀 등을 이용하여 오목한 둥지를 만든다.
행동습성
잠수능력은 뛰어나지만,
깃털의 방수력은 좋지 않아
암초나 폐선박 등에서 날개를 벌려
깃털을 말리는 행동을 자주 볼 수 있다.
특히 턱 아래에는 고기를 임시 저장하는
주머니가 발달해 있다.
분포 서식
얕은 바다나 강 하구, 그리고 간척지 호수
등에서 서식한다.
국내에는 매우 흔한 겨울철새로
해안, 하구, 강, 호수 등에서 월동하며
내륙 일부 지역에서는 드물게 번식한다.
유라시아,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동정同定
몸 전체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부리의 기부는 노란색
흰색 뺨이 만나는 부분은 동그스름하며
여름깃은 다리 위쪽에 흰색의 반점이 생기며,
뒷머리와 뒷목에 털 모양의 흰색 깃털이 있다.
정수리 부분이 흰색으로 변한다.
용도
목에 줄을 묶어 물고기를 삼키지 못하게 한 뒤,
가마우지를 풀어 물고기를 사냥해 오게 한다.
여적 餘滴
강한 산성의 배설물로 인해 수질오염과
나무가 죽어가는 백화현상이 발생한다.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어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취재 取材
이론은 주로 On-Line에서 취합
2025-04-07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