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가 있는 사례자 허주잡신의 조종 신병 - 소원풀이 2편 - 대전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Автор: 굿엔트
Загружено: 11 нояб.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1 592 просмотра
#신기 #사례자 #허주잡신 #조종 #신병 #소원풀이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민속문화를 알리는 곳으로 무속 신앙 선생님들의 이야기와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한국의 민속문화와 민속신앙에 대해 다루는 유튜브 채널입니다.
무속 신앙에 대한 이야기와 그 전승 과정을 바르게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선생님들과 전문가들이 출연하여 전통적 신앙에 대한 이해를 돕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굿엔트는 민속 신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 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 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ch/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
인동살(忍冬殺)이란 참을인 겨울동 죽일살자로 엄동설한 추운 한 겨울을 살기 위하여 이를 악물고 참고 견뎌내야만 하는 신살이란 뜻으로 나쁜 흉살에 속한다.
생일의 끝자리가 음력으로 1, 3, 8일에 태어난 사람 (생일이 음력 1. 3. 8. 11, 13, 18, 21, 23, 28일인 사람)으로 조상의 업보가 후손에게 나쁜 기운으로 뻗친 결과로써 부모님과 본인 자녀 모두에게 영향을 받는데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좋지않은 현상이 일어난다.
(생일 해당되는 사람이라고 모두 인동살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님)
인동살이 있는 사람에게 일어나기 쉬운 현상
1. 사람과의 인연이 박하여 좋은 배우자를 만나기 어렵고 겨우 만나도 결혼이 성사되기 어렵다.
2. 인덕이 없어 주변으로부터 배신을 자주 당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다.
3. 인간으로 인하여 구설시비와 송사등으로 온갖 풍파를 겪는다.
4. 금전운이 없어 남에게 돈을 빌려줘도 받지못하고 재물에 대한 손실이 잘 일어난다.
5. 태풍, 홍수, 화재, 교통사고등 재해나 횡액을 당하기 쉽다.
6. 부부 두사람이 같이 인동살이 있으면 기형아나 미숙아, 저능아,저폐증아등을 출산할 가능성이 많다.
9. 자녀가 잘 아프고 취업과 결혼성사가 잘 이뤄지지않는다
인동살 방지책, 인동살 푸는 방법
1. 모든일에 조심하고 과욕을 부리지않는다
2. 조상님의 업장을 녹이기 위하여 지장기도를 많이 한다.
3. 음력생일의 끝자리가 9자인 사람과 부부의 인연을 맺는다
4. 신살소멸 살풀이를 한다.
5. 인동살소멸부의 부적을 지닌다.
귀신
초인간적 또는 초자연적 능력의 발휘 주체로 여겨지는 신(神).
제주도의 「천지황본풀이」에서 “금세상에 어느 성인이 먼저 나시고 어느 귀신이 먼저 나셨읍니까.”라고 노래할 때의 귀신은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좁은 뜻으로 쓰일 때는 죽은 이의 넋, 곧 사령(死靈) 또는 사령귀를 지칭하기도 하는 말이다.
귀신은 우리나라 사람의 신앙행위와 신비체험의 대상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앙이나 민속현장에서 그 개념이 매우 다양하다.
흔히 일상어에서 ‘귀신 곡할 노릇’이라거나 ‘귀신도 모를 일’이라고들 하는데, 그것은 귀신의 개념 그 자체가 많은 변화를 지닌 복합적인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무가(巫歌)에서 ‘일만팔천신’ 또는 ‘팔만신’이라고 표현할 때 그것은 단순히 신들의 수가 많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귀신의 개념 속에는 무속신앙·유교·도교 그리고 불교 등에 연원을 둔 개념들이 얽혀 있는 만큼, 단정적인 정의로는 그 정체가 잡히기 힘들다.
뿐만 아니라 신·귀·잡귀·객귀(客鬼)·여귀(厲鬼), 그리고 신명·신령·신인 등의 개념이 귀신과 포개져 있다. 더불어 자연신적인 것, 의인신적(擬人神的)인 것, 심지어 주물신앙(呪物信仰)의 대상이 됨직한 물령적(物靈的)인 것까지 겹쳐져 있어서 귀신이라는 개념이 지닌 복합성은 더욱 더 짙다.
귀신이 범신론적(汎神論的)인 명사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개념의 복합성에 있는 것이다. 서구 인류학이나 종교학의 개념을 빌린다면 제신들(gods), 물령이라고 번역할만한 스피릿(spirit), 마귀를 뜻하는 데몬(demon), 사령을 뜻하는 고스트(ghost) 등이 있다.
따라서 그때그때 경우에 따라 알맞은 귀신이라는 개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른바 ‘모든 것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지고(至高)의 절대신 개념이 귀신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없는지는 단언하기 힘들다.
우리나라의 민속신앙 및 무속신앙의 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실제의 귀신론에서 사령신이 가지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전제한다면, 귀신을 범신론적인 것과 사령신적인 것의 두 범주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앞세울 때, 범신론적 귀신은 다시 크게 보아 성스러운 신이(神異)의 초월적(초자연적) 존재와 공포스러운 괴이(怪異)의 탈자연적 존재라는 두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가지 기본적 기준과 그에 관련된 세부적 기준들은 사령신의 귀신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역닫기범신론적 귀신
1. 신이의 초자연적 존재
귀신이라는 개념은 먼저 중국의 역대 사서(史書)들이 우리나라의 상고대사회의 종교현상을 기술하는 가운데에서 사용하였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후한서(後漢書)』 고구려전에, “즐겨 귀신·사직(社稷)·영성(靈星)을 받들고 시월에는 하늘에 제사 드리면서 크게 무리 짓는다. 이를 일러 동맹이라 한다.
그 나라의 동쪽에 큰 굴혈이 있고 이를 맡은 신을 수신(隧神)이라고 하거니와 이도 역시 시월에 맞이해서 제사를 드린다.”라고 되어 있다. 마한에 대해서도, “항상 오월에는 밭일하고 귀신에게 제사 드리면서 밤을 새워 술마시고 가무를 행한다. ……중략…… 또한 소도(蘇塗)를 세운다. 즉 큰 나무를 세워서 이에 방울을 걸고 그럼으로써 귀신을 섬긴다.”라고 되어 있다.
그밖에도 다음과 같은 기록들이 전해지고 있다. “그 살고 있는 곳 좌우에 큰 집을 짓고 귀신에게 제사 드린다. 또, 영성이며 사직을 받든다.(양서 동이전 고구려)”, “언제나 오월에 귀신에게 제사 드린다. 노래하며 춤추고 술마시면서 밤낮 없이 어울리되 그 춤에는 수십명이 참여하기도 한다.(삼국지 위서 삼한)”, “그 풍속이 귀신을 중히 여겨서 매양 오월에 씨뿌림과 밭갈이가 끝나면 무리져 노래하고 춤춘다. 그럼으로써 신에게 제사 드리는 것이다. 시월에 농사일이 끝나면 역시 이와 같이 한다.(진서 동이전 마한)”
이들 여러 인용문에서는 다만 고구려나 삼한에서 귀신을 섬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그 귀신의 정체에 관한 내용은 없다.
물론, 고구려나 삼한의 사람들이 그들의 신앙의 대상을 원래 귀신이라고 불렀다고 보기는 힘들다. 그것은 중국인들의 귀신이라는 관념에 가장 가까운 신앙의 대상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그것을 복원하거나 확인하기는 불가능하고, 다만 귀신이라는 한자어에 담긴 신앙의 대상의 속성을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위의 여러 기록에서 귀신의 속성을 비교적 쉽게 유추할 수 있는 근거를 지닌 부분을 따로 추출하면, ① 항상 오월에는 밭일하고 귀신에게 제사 드리면서 밤을 새워 술마시고 가무를 행한다.
② 또한 소도를 세운다. 큰 나무를 세워서 이에 방울을 걸고 그럼으로써 귀신을 섬긴다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①은 삼한 또는 마한의 것으로, 이 경우 귀신은 농사굿과 분명하게 맺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오월에 씨뿌리고 난 뒤와 시월에 농사 끝나고 난 뒤 귀신에게 제사 드리는데 춤과 노래를 더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후세의 별신굿이 능히 연상될 수 있다.
마한의 별신굿격인 농사굿에서 섬김을 받은 귀신이라면 그 성격상 풍요의 신이었음을 헤아릴 수 있다. 그 농사굿이 겉보기로나마 별신굿과 비슷하다는 사실로 미루어 이 풍요의 신의 속성을 후세의 서낭신(당산신·당신·동신)에 비추어 생각해볼 수 있는데, 이 경우 서낭신이 마을 등속의 지역공동체의 수호신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②의 기록에서 소도를 후대에까지 전해진 솟대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더하여 다시 방울이 걸린 장대마저도 솟대 또는 서낭대라고 생각한다면, 여기서도 귀신이라는 개념이 서낭신에 매우 근접하여 있음을 헤아릴 수 있다. 꿩의 털과 방울이 달린 장대는 가장 흔하게 보는 서낭대의 한 종류이다.
삼한(마한)의 경우 이같이 두 겹으로 후대의 서낭신에 매우 근접한 귀신 개념을 유추하여 볼 수 있으나, 같은 기록 속의 서로 앞뒤가 다른 문맥 속에 끼어 있는 두 귀신이 같은 것인지 아닌지는 확인하기 힘들다.
이 때도 후대의 별신굿에서 유추한다면, 소도의 귀신이 곧 농사굿의 귀신과 같다고 보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의 별신굿은 서낭대를 신체로 섬기며 굿을 치르기 때문이다. 한편, “하늘에 제사를 드리며 주야로 음주 가무한다.”고 한 예(濊)의 무천(舞天)이나, 이와 비슷한 부여의 영고(迎鼓)가 다같이 가무음주로 진행되는 공동체의 집단적인 굿인만큼, 그 기본적인 성격이 이미 앞에서 언급한 마한이나 고구려의 굿들과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다.
그것은 영고나 무천이 천신에게 바쳐진 굿이듯이, 고구려나 마한의 굿 역시 천신에게 바쳐진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