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녀사냥의 역사. 왜 마녀를 화형시켰나
Автор: 유럽TV 에우로파
Загружено: 29 сент.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535 просмотров
#그리스로마신화의 마법의 신 -헤카테 등
#동화에서의 마녀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마녀재판
#마녀화형
#말레피키움Maleficium, 검은 마법
#마녀의 공중비행
#교황의 마녀칙서
#말레우스 말레피카룸(마녀의 망치)
#인큐버스, 서큐버스
#와이즈 우먼Wise Woman
마녀탑
#바늘검사, 물검사
#마녀안식일
#마녀산 블로켄Blocken
#발푸르기스 밤
#마틴 루터
#30년 전쟁
#신성로마제국
#독일제국형사법, 카롤리나법
#프리드리히 폰 슈페Friedrich von Spee
#계몽주의
#마지막 마녀화형
유럽에서 마녀의 존재는 고대 그리스 신화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호머의 '오디세이'에서 이탈리아 남부에 있는 아이아이아Aeaea 섬에서 오디세우스의 부하들을 돼지로 변하게 한 태양신 헬리오스의 딸 마법녀 키르케Circe는 그러한 예에 해당한다. 마녀의 여신으로는 티탄족 페르세스Perses(파괴의 신)와 아스테리아Asteria의 딸 헤카테Hecate 여신이 있다. 그녀는 대지의 여신, 달의 여신, 저승세계의 여신으로 세 여신이 하나로 합쳐진 몸을 지닌다.
또한 어린 아이를 잡아먹는 정령인 밤의 새 스트릭스Strix, 헤카테의 명령을 받아 젊은이를 유혹하여 잡아먹는 정령 엠푸사Empusa, 제우스와의 사랑 때문에 헤라의 저주로 자기 자식을 잡아먹는 정령 라미아Lamia(포세이돈의 딸), 콜린트 출신으로 자기자식을 잡아먹는 유령 모르모Mormo, 어린아이와 처녀를 잡아먹는 유령 겔로Gello 등도 전형적인 마녀의 유형에 속한다. 그리고 유대신화에서 아담의 첫 번째 부인인 마법사 릴리트Lilith도 이러한 유형에 속한다. 릴리트는 올빼미를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마녀는 민담이나 동화에서도 등장한다. 그림의 독일동화 헨젤과 그레텔Hänsel und Gretel도 잘 알려진 마녀이야기이다. 마녀는 초자연적인 마법의 힘을 가지면서 해악을 끼치는 존재로 부각된다.
유럽에서 마녀사냥은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이어진다. 13세기는 중세 말엽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악령의 힘과 결탁해 마법을 부린다는 마법사에 대한 논의는 중세이전에도 있었다. 4-5세기에 활동한 기독교 교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처음으로 마법과 마법사에 대해 논쟁적으로 다루고 있다. 하지만 그는 해로운 마법의 두려움보다는 기독교 신앙에서 이교도 교리나 미신적인 요소를 정화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마녀를 별다른 힘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회는 그 마법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여긴다. 그의 교리에 큰 영향을 받은 초기의 중세교회는 마녀에 대해 별다른 박해를 가하지 않는다.
하지만 13세기부터 이러한 경향이 바뀌기 시작한다. 중세의 영향력 있는 기독교교리 이론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1273년 '신학대전Summa Theologica'에서 마녀의 주술행위가 악마의 도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견해를 밝힌다. 이 세상은 악과 마귀로 가득 차있음을 지적하면서 그는 마녀의 마법적 행위를 상세하게 적는다. 예를 들면 악마와의 계약, 마녀의 공중비행, 늑대인간처럼 동물로 변신, 날씨를 변경시키는 것 등은 마녀의 마법적 행위에 속한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이후 대규모적으로 마녀를 산 채로 화형시키는 이론적 토대 작용한다. 그의 영향아래서 신학자들은 마녀의 종파와 유형을 분류하기 시작한다. 최초의 마녀 화형은 1275년 프랑스 툴루즈에서 있었다.
유럽연구소 소장
강의/ 컨설팅/ 원고의뢰 문의
연락처: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