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통증 이두박근 건염 초음파검사 PDRN주사치료
Автор: 대치동 통증의학과 강남연세신통의원
Загружено: 19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44 просмотра
상완이두근 원위부 통증은 주로 힘줄의 염증, 부분 파열, 완전 파열 등으로 발생하며, 반복적인 과사용이나 외상이 주요 원인입니다.
해부학적 구조
상완이두근 원위부 힘줄은 상완이두근이 팔꿈치 근처 요골 결절에 부착되는 부위로, 팔꿈치 굴곡과 전완 회외(손바닥이 위를 보이게 돌리는 움직임)에 관여합니다5. 이 부위는 무거운 물체를 드는 동작에서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받기 쉽습니다.
통증 원인
외상성 파열: 갑작스러운 역동적인 힘(예: 역도, 무거운 물건 들기)에 의해 힘줄이 완전 또는 부분 파열될 수 있으며, 이때 "뚝"하는 소리와 함께 급성 통증이 발생합니다234.
만성 과사용: 반복적인 팔꿈치 굴곡/회외 동작(볼링, 테니스)으로 인한 힘줄의 미세 손상이 축적되어 건염 또는 부분 파열을 유발합니다5.
퇴행성 변화: 40-60대에서 힘줄의 혈류 감소와 콜라겐 구조 약화로 자연 파열 위험이 증가합니다5.
Speed's Test와 Yergason's Test는 상완이두근 병변과 SLAP (Superior Labrum Anterior and Posterior) 병변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임상 검사법입니다.
Speed's Test
방법: 환자의 팔꿈치를 펴고 전완을 완전히 회외시킨 상태에서 어깨를 90도 굴곡 위치로 들어올립니다. 검사자는 아래쪽으로 저항을 가합니다4
양성 소견: 어깨 통증이 발생하면 양성으로 간주합니다4
진단 정확도:
민감도: 32%
특이도: 75%
양성 예측도: 50%
음성 예측도: 58%1
Yergason's Test
방법: 환자의 팔꿈치를 90도 굴곡하고 전완을 회내시킨 상태에서, 환자에게 전완을 회외시키도록 지시하고 검사자는 이에 저항을 가합니다5.
양성 소견: 이두근구에서 통증이 재현되거나 "딸깍"하는 감각이 발생하면 양성으로 간주합니다5.
진단 정확도:
민감도: 43%
특이도: 79%
양성 예측도: 60%
음성 예측도: 65%
6.
초음파 소견
정상 소견: 힘줄이 균일한 에코텍스처로 요골 결절에 명확히 부착됨7.
이상 소견:
부분 파열: 힘줄 두께 증가, 국소적 저에코 영역57.
완전 파열: 힘줄 연속성 단절, 근위부 수축47.
건염: 힘줄 주변 체액 증가, 혈류 신호 증가5.
PDRN 주사 효과
PDRN(폴리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은 손상된 힘줄의 재생을 촉진하는 데 사용됩니다:
작용 기전: 섬유아세포 활성화를 통한 콜라겐 합성 증가, 염증 매개체(IL-6, TNF-α) 감소5.
효과:
급성기: 통증 50-70% 감소(체외충격파 치료와 병용 시 효과 증대)5.
만성 건염: 8-12주 후 힘줄 두께 감소 및 에코텍스처 개선5.
수술 불필요한 부분 파열에서 보존적 치료 옵션으로 활용 가능5.
치료 전략은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완전 파열 시 2주 이내 수술적 접근이 권장됩니다45. 보존적 치료에는 PDRN 주사 외에도 체외충격파(혈류 개선 및 섬유화 조직 분해)5, 물리치료(점진적 저항 운동)가 병행됩니다.
통증부위를 초음파로 검사 하면서 정성껏 치료 합니다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안면신경마비
대상포진
두통
목어깨 통증
팔꿈치 통증
손목 손 통증
허리 통증
무릎 발목 통증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