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아킬레스건 '대만', 트럼프는 대만이라는 협상 카드를 놓치지 않을 겁니다.. 트럼프 취임하면 '중국 관세'부터 때릴 것, 중국의 대응책은? ft. 전가림 교수 / SBS
Автор: SBS 뉴스
Загружено: Прямой эфир состоялся 9 нояб.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24 056 просмотров
1. 대만을 중국 견제 수단으로 활용하는 트럼프: 트럼프는 대만을 중국과의 협상 카드로 적극 사용하고 있으며, 대만 문제는 그의 2기 정권에서 중요한 대중국 압박 수단이 될 것입니다.
2. 대만의 지리적·경제적 중요성: 대만은 반도체 생산의 중심지로, 대만 스스로도 미국의 보호를 원하고 있어 트럼프 정권에서 안보 부담을 기꺼이 떠안으려는 자세를 보입니다.
3. 중국의 반발: 트럼프의 대만 정책은 시진핑의 조국 통일 목표와 갈등을 일으키며, 중국 정부에 큰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대만 해협 긴장 가능성: 트럼프가 집권하면 대만 해협의 긴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트럼프 특유의 예측 불가능한 스타일로 인해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미국의 관세 전략: 트럼프는 관세를 주요 대중국 수단으로 삼고, 이를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에도 적용해 미국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려 할 것입니다.
6. 중국의 경제 구조 변화: 중국은 외국 자본 유출과 내수 약화를 겪고 있으며, 소비와 내수 진작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효과가 미미한 상황입니다.
7. 미국-중국 기술 경쟁: 트럼프 정권에서 반도체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중국에 대한 제재가 강화될 것이며, 이는 중국의 산업화 목표에 큰 장애가 될 수 있습니다.
8. 불확실성 증가: 중국은 트럼프의 예측 불가능한 행보로 인해 경제적·정치적 불확실성에 대비해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나, 체제상의 한계로 인해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9. 외국인 투자 감소: 중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 환경이 악화되며, 투자자들이 미국 등으로 빠르게 유출되고 있습니다.
10. 일론 머스크의 중재자 역할: 머스크가 중국 시장에서의 전기차 판매를 위해 미중 간 갈등 완화를 유도할 수 있지만, 중국 내 제한적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11. 중국의 경제 방어 수단: 트럼프 집권 시 중국은 환율 조작, 자국 산업 보호 등을 통해 관세 전쟁에 대응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민은행의 개입이 예상됩니다.
12. 중국 경제 성장 목표: 중국은 경제 성장률 목표인 5%를 달성하려 하지만, 실제 성과와는 괴리가 클 것으로 보이며,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해 목표 달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13. 트럼프의 경제 정책 특성: 비즈니스 감각을 가진 트럼프는 극단적인 선택보다는 경제적 유연성을 강조하지만, 중국 입장에서는 여전히 큰 위협으로 다가옵니다.
14. 트럼프-시진핑 관계: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환대에도 불구하고 강경한 무역정책을 펼쳤고, 이는 시진핑이 트럼프의 유연성을 지나치게 기대하는 대신 현실적인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제작진]
총괄 정호선, 기획 손승욱, 작가 이미숙, 라이브PD 박우진, 영상취재 박승원·김현상, 인턴 임수미, 편집 채지원
#트럼프 #중국 #대만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