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란희의 TalkTalk] 플로리다 고급 주택값은 왜 떨어질까? 뉴욕 오피스빌딩에 벌금을 물린다고?
Автор: 박란희의 TalkTalk
Загружено: 27 окт.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2 488 просмотров
임팩트온은 ESG에 대한 글로벌 흐름을 알려주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임팩트온에선 더 많은 기사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http://www.impacton.net
기후변화, 부동산을 바꾼다…플로리다 고급 주택가격 낮추고 뉴욕 오피스빌딩에 징벌세 도입한다
http://www.impacton.net/news/articleV...
와튼스쿨 벤저민 키스 교수, 플로리다 고급주택 가격 7.6% 하락
뉴욕시 오피스 빌딩 징벌세, 2030년이면 전체 빌딩 절반이 징벌세 대상
올 여름, 우리나라에선 전남 구례 섬진강 지역에 시간당 500mm가 넘는 폭우가 내리면서 도심전체가 물에 잠긴 낯선 모습이 등장했다. '이상 기후'라는 말로, 올해에만 특별하게 생겨난 현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을지 모른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보고서들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부동산 가격마저 움직이고 있으며, 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주택이나 오피스 빌딩 등 건축물에까지 규제와 벌금을 물리는 상황까지 현실화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플로리다주 고급 주택을 대상으로 한 펜실베니아대 와튼스쿨 벤저민 키스 교수의 논문을 인용,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는 지역의 주택은 수요가 줄고 가격이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온라인 부동산 매매사이트 질로우를 조사한 결과, 플로리다주 마이애매 비치 발하버의 거래량이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해 거래량이 절반으로 줄었고, 가격은 2016년 대비 7.6%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발 하버는 평균 주택가격이 360만 달러(41억원)에 이르는 플로리다주의 대표적 고급 주택가다. 발하버는 2000년대 초반과 비교해 거래량이 절반으로 줄었고, 가격은 2016년 대비 7.6% 하락했다.
키스 교수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의 위험에 노출된 지역과 안전한 지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위험지역은 안전한 지역에 비해 거래량이 16~2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무디스(Moody's)에서 상당수 지분을 획득한 기후 데이터회사 포투엔티세븐(Four Twenty Seven)에서도 부동산 관련 자료를 내놓았다. 리츠(REITs) 부동산 중 35%가 홍수, 태풍, 허리케인, 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 위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312개 리츠가 보유한 7만3500개 부동산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한 것이다. 리츠는 다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해 부동산에 투자하는 부동산 간접투자방식이다.
대한민국, 2030년에는 항시 폭염으로 야외 5~6시간밖에 못 버텨
이와 관련, 최근 이지스 자산운용은 ‘The Green and Digital’(기후변화에 따른 부동산 투자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보고서를 펴냈다.
미국 마이애미, 뉴올리언스 같은 저지대 해안도시는 2045년부터 침수피해가 일상화되며, 2085년부터 거주불가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고,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2100년까지 미국에서만 36개의 도시가 완전히 물에 잠기고, 최대 2000만개의 주거지가 침수될 수 있다(Ben Strauss, PNAS게재 연구)고 한다.
최근 기상학자와 WMO(세계 기상기구)의 2020년 세계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까지 평균기온은 1.5도 상승은 거의 확실하며, 1.5도를 초과할 가능성은 24%로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의 일시정지도 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가 한계점을 초과하면서 그 영향이 선형이 아니라 비선형의 형태로, 피해규모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특히 ‘더운 나라’로 구분될 경우 높은 기온상승, 습도에 따른 노동생산성 저하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2030년이 되면 우리나라는 항시적인 폭염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습도와 고온이 동반되는 '습구온도(wet bulb temperature, 상대습도가 100도가 되는 온도)' 35도를 넘으면 체온조절이 불가능해서 야외에서 대여섯 시간밖에 버틸 수 없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2030년에는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매년 야외 노동시간이 전체의 8%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건축물 이산화탄소 규제 및 징벌세 부과
이 때문에 실내 건축물의 에너지 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에 관한 관심도 매우 커지고 있다. 건물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6%를 차지하기 때문이다.(GABC, 2018)
최근 유럽위원회는 2030년까지 주거용 건물과 비주거용 건물의 연간 리노베이션 비율을 최소 2배 이상 높일 것을 목표로, ‘최소 에너지 성능 표준’을 마련해서 기존 유럽 건물에 의무도입할 예정이다. 이제 온실가스를 많이 내뿜는 건물이나 빌딩은 개보수를 해서, 에너지도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도 적게 하라는 압박을 내미는 것이다.
이런 규제는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오고 있다. 미국 뉴욕시의회는 최근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오피스 빌딩에 징벌세를 도입하는 CMA(Climate Mobilization Act) 법안을 통과시켰다. 뉴욕시 이산화탄소 전체 배출량의 3분의 2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삼고 있다. 2030년까지 오피스 빌딩을 규모별로 중대형(2만5000평방피트 이상), 소형으로 나눠서 중대형의 8.5kg 이내, 소형은 4.5kg이내로 배출목표를 정하고, 이를 위반하면 1평방피트(s.f, 미국 1s.f=0.0281평으로, 500s.f는 14평 정도다)당 징벌세를 268달러(30만원)를 내야 한다. 이를 2016년 뉴욕시 전체 오피스 평균 배출량 기준으로 보면, 2024년 평균 10% 정도가 기준량에 미달해 징벌세 부과가 미미하지만, 2030년에는 절반인 50%가 징벌세 대상이 된다.
캘리포니아주는 2020년부터 모든 신축 주거 건축물과 2030년부터 모든 신축 상업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 에너지 의무화 계획 수립했다.
영국은 2008년부터 건물 에너지 성능 인증제도를 도입, A부터 G등급을 부여하고, 2018년 4월부터 신규, 갱신, 연장 계약 대상에 따라 최소 에너지 기준 E등급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면 임대가 제한된다.
싱가포르는 기존 건물에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적용하면, 소유지, 임대인, 건축가, 시공업체, 엔지니어 등이 보조금 지급받을 수 있다. 프랑스 파리의 경우 친환경 인증을 받은 그린빌딩이 2007년 0%였으나, 지금은 도시 전체 공급량의 9%까지 늘어났다고 한다.
보고서는 “전세계 ESG 투자자산 중 부동산 시장은 3% 정도로 비중이 높지 않으나 골드만 삭스가 프랑스 파리 외국지역에 그린본드(친환경채권)를 통해 리버퀘스트(River Quest) 빌딩에 투자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빌딩으로 알려진 네덜란드의 ‘디 엣지’(The Edge) 등과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 빌딩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임팩트온 #impacton #ESG #기후변화 #부동산 #리츠 #플로리다 #오피스빌딩 #징벌세 #건축물 #친환경건축물 #에너지 #유럽위원회 #뉴욕시의회 #영국 #싱가포르 #캘리포니아주
![[박란희의 TalkTalk] 플로리다 고급 주택값은 왜 떨어질까? 뉴욕 오피스빌딩에 벌금을 물린다고?](https://ricktube.ru/thumbnail/4O99kUWQt3U/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