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정책스페셜]
Автор: 경제 인사이트
Загружено: 22 нояб.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1 546 просмотров
□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할 바이오헬스
감염병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국가 보건 안보를 확고히 하는 차원에서 코로나19백신과 치료제 개발 기업의 임상시험을 지속적으로 지원한다. 아울러, 바이오헬스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 국내 기업 투자 확대를 위한 범부처 지원을 강화한다. 백신·원자재 분야 저금리 중소 정책자금을 최대 100억원까지 지원하고 바이오헬스 등 6대 신산업 분야에 총 9,000억원 규모의 기술보증을 지원하는 등 금융·정책자금 지원 한도를 확대한다. 또한,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 지원을 위한 글로벌 메가 펀드를 조성하고 K-바이오·백신 펀드 향후 1조 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 디지털 헬스케어와 첨단·정밀의료의 확산
인공지능, 정보통신기술 등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의료기기의 경우 통합 심사체계를 통해 의료현장 진입이 대폭 빨라지게 된다. 혁신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검토하여 의료현장 진입 기간을 390일에서 80일로 대폭 단축하게 된다. 바이오헬스 산업의 씨앗이 되는 보건의료 데이터의 공유와 활용이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개인정보보호법, 의료법 등 관련 법률을 준수하며 연구에 합리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마련한다.
#바이오 #디지털헬스 #헬스케어
![바이오·디지털헬스 글로벌 중심국가 도약 [정책스페셜]](https://ricktube.ru/thumbnail/4XmvRRZn4uM/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