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그래프로 알아보는 지속 가능 도시 TOP100
Автор: 그래프천재
Загружено: 21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51 просмотр
2024 지속 가능한 도시 분석 결과 요약
출처: 한국지역경영원, 2024 지속가능도시 평가 자료
이번 평가는 인구 구조, 경제 및 고용 지표, 교육 환경, 의료 접근성, 생활 안전성 등 5대 핵심 영역을 기준으로 전국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수치화한 데이터 기반 분석입니다.
전체 250개 도시를 대상으로, 상위 1위부터 하위 100위까지 순위가 매겨졌으며,
평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도시들은 101위로 일괄 분류되었습니다.
또한, 포항, 창원, 전주, 성남, 제주, 청주, 천안, 고양, 용인, 수원은 시·군·구 통합 평가로 진행되었습니다.
하위권 도시 분포(100위~31위)
100.광주 동구,완도,노원,남양주,오산
95.군산,기장,강원 고성,보은,양구
90.무안,함양,수성,영등포,경주
85.영월,경남 고성,포항,안양,창원
80.의정부,음성,울산 중구,부천,대구 동구
75.증평,대전 중구,여주,전주,밀양
70.구례,계룡,성남,홍천,하동
65.태안,영암,당진,안성,제주
60.서울 중구,순천,속초,파주,청주
55.예천,울산 남구,양평,대구 중구,완주
50.진천,합천,마포,군포,연수
45.예산,보령,영도,서초,나주
40.신안,인천 중구,시흥,양양,무주
35.달성,구리,구미,인천 서구,강남
➡️ 30위~1위는 영상에서 상세 분석과 함께 공개됩니다.
📈 분석 포인트
수도권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속 가능성이 낮은 구간에 위치한 사례(예: 노원, 영등포 등)가 확인됨
인구 감소 또는 산업 기반 약화 지역에서 다수 하위권 포함
반면, 중소 도시 중에서도 중위권 이상으로 평가된 지역이 존재함
🗳️ 정책적 맥락과의 연계
최근 대통령실 이전 논의와 맞물려 세종시의 국가 행정 중심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평가 결과는 지역 균형 발전과 지방 활성화 전략 수립의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좋아요, 구독, 알림 설정은 그래프천재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