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기습특공대대
Автор: MARINEBOY
Загружено: 6 дек.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46 402 просмотра
이것은 해병 1사 기준이므로 2사와 6여단은 다를 수 있고, 전부대에서 다 생활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틀릴수도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아시다시피 해병대의 연대는 3개의 특화대대로 구성됩니다.
해병기습특공대대 / 해병유격대대/ 해병공정대대
해병기습특공대는 해상을 바탕으로 하는 상륙기습(기습특공)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부대입니다.
상륙기습을 위한 기본적인 IBS는 해병대의 여타 부대들이 기본적으로 받고는 있지만, 기습특공대는 상륙기습에 관한 한 어느부대보다 프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격을 위한 2~3주간의 기본 IBS 이외에, 팀장들에게는 2주간의 팀장교육이 추가가 되며, 년중 해상훈련이 어마어마합니다.
기습특공이라는 것은 특수전의 일종이지만, 해병기습특공대가 행하는 기습특공은 상륙작전에서의 상륙기습이므로 굳이 특수전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상륙기습이란] 제한된 상륙작전의 한 형태로서 해상 또는 육상 발진기지로부터 적 해안에 상륙하여 목표지역의 신속한 습격 또는 일시 점령후 해상 또는 지상으로 계획된 철수를 실시하는 작전을 말합니다.
여기에서의 목표라는 것은 주로, 적 해안의 주요군사시설이나 미사일기지 및 레이다기지가 포함됩니다.
상륙기습은 상륙돌격/상륙양동/상륙기만과 함께 상륙전의 4대 기본형중에 1가지이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대규모 상륙전에서 동시에 상륙기습을 수행할 확률은 적다고 봐야 할것입니다. 작전형태로만 보자면 거의 선견작전에 가깝습니다.
이말은 즉 상륙돌격과 상륙양동에 포함되어 수행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는 대규모 상륙전이 일어나기 직전에 미리 중요거점을 무력화(이것은 적세력 기만의 효과도 있음)시키거나, 해안을 끼고 펼쳐지는 내륙지상전에서 내륙으로의 기동이 어려울경우 독자적인 기습특공을 수행하여 적배후를 기습하는 형태로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상륙기습은 보통 야간과 새벽에 실시되는게 일반적이고, 소속부대와 관계없이 팀별 제대별로 작전을 수행합니다. 척후조/안내조/수색조/경계조/정찰조/폭파및 암살조로 6개 제대별 편성으로 목표물까지 은밀/신속하게 이동한후 기습침투를 통해 타격하고 퇴출 및 철수를 반복합니다.
해병기습특공대는 상륙기습(기습특공)의 전문부대로서, 년중 8차에서 11차까지 해상훈련이 실시됩니다.
1차가 보통 2주로 구성되며, 장거리 해상/육상의 기동과 연계될경우 3~4주로 늘어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군의 전술훈련 이외에, 년중 20주 정도를 해상에서 보내야 하는 부대입니다.
수색대 다음으로 생명수당이 많은 부대이기도 하지요;;
기습작전의 특성상 해병대 하계특수전교육(특수수색교육)을 이수한 병력비율이 가장 많은 부대이기도 합니다. 병력비율별 착출임.
만약 상륙전의 선견부대작전에서 다수의 목표물이 발생한 경우에는 특수수색대와 더불어 다수의 기습부대가 동시작전할 수도 있습니다. 특수수색대가 대규모상륙전 이후의 내륙작전에서 종심00km까지 특수전을 수행할 경우, 국지적인 기습작전에 최선봉부대입니다.
#해병대기습특공대대#해병대22대대#해병대32대대#해병대72대대#해병대IBS#해병대1사단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