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치사/국회의원 총선거 역사정리(1대~10대)
Автор: 역사멍멍
Загружено: 31 янв.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6 559 просмотров
#국회의원 #총선거 #415총선
제 1대 선거
1945년 8월 15일 광복이후 38선이 군사분계선이 확정되고, UN총회 결의에 따라 선거만 가능한 지역인 남한만 총선거를 실시하여 정부를 세울 것을 정했다. 남한만의 단독선거가 결정되자 남한 내에서 심각한 분열이 일어났다.
대한민국 제헌국회 구성을 위한 첫 총선거가 1948년 5월 10일 실시되었다. 만 21세의 이상의 국민에게 선거권을 주는 보통선거, 1인 1표를 행사를 하는 평등선거, 비밀 직접 선거라는 민주주의 선거원칙이 적용되었다. 김구를 비롯한 단독정부 반대파는 선거를 저지했지만 결국 실시되었다. 제주 4·3사건 때문에 실시하지 못했던 2개구를 제외하고 198명의 국회의원이 선출되었다. 1949년 5월 제주도 2개구에서 선거가 실시되면서 200명의 국회의원이 채워졌다. 1대 국회의원의 임기는 2년이었다. 초대의장은 이승만이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