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의 의미
Автор: 유순근
Загружено: 1 апр.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32 просмотра
상징은 여러 가지 속성을 갖고 있다. 상징의 본질은 의미의 암시성과 다의성이다. 비유에서는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일대일의 유추적 관계이지만, 상징에서는 일대다(多)의 다의적 관계이다. 예를 들면, 만해 한용운의 시어‘님'은 조국, 부처, 진리, 사랑하는 사람 등으로 다의적인 의미이다. 상징은 비유와 달리 두 대상 간의 공통성에 바탕을 두지 않는다. 상징은 원관념 파악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고, 허구와 진실을 내포한다.
상징은 어떤 사물이 자체의 의미를 유지하면서 포괄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원관념이 배제된 은유의 형태이다. 예를 들면,“거짓말쟁이는 악마다”에서 거짓말쟁이는 원관념((A)이라 하고, 악마를 보조관념B)이라 한다. 이 경우 원관념과 보조관념은 본래 다른 성질을 갖는다. 원관념은 나타내려고 하는 생각이나 사물이나 보조관념은 원관념을 빗대어 표현한 다른 사물이다. 그러나 함축적 의미에서 속성의 유사성을 발견해 낸다.
상징은 은유(metaphor)와 다른 점이 있다. 은유는 원관념(A)과 보조관념(B)을 직접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즉, A = B 형식이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일대일로 대응한다. 예를 들면,“유관순 누나는 조국애의 꽃 넋이다”(박두진의 3월 1일의 하늘)에서 원관념은 유관순 누나이고, 보조관념은 조국애의 꽃 넋이다.
은유는 직유와 다른 점이 있다. “천사와 같은 여자 친구이다”에서 여자 친구는 천사의 특성을 갖고 있지만 천사는 아니다. “동생은 천사이다”에서 동생은 천사의 특성을 갖고 있고 동시에 천사와 동일시된다. 전자는 직유, 후자는 은유이다. 은유는 동생을 표현하기 위해서 천사의 모든 느낌과 특징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느낌까지도 수용해서 전달한다. 따라서 은유가 내포된 비유라면, 직유는 겉으로 드러난 비유를 말한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