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휴대전화 수거, 학생 인권침해 아니다…현장에서는? / KBS 2025.03.11.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11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8 267 просмотров
과거 국가인권위원회는, 학교 측의 학생 휴대전화 수거에 대해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는데요. 그런데 인권위가 10년 만에 인권침해가 아니라는 정반대 결정을 내려, 일선 교육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중학교 3학년 교실.
수업 시작 전, 학생들이 차례로 앞으로 나와 담임 교사에게 휴대전화를 맡깁니다.
이 학교는 지난 2천21년부터 학교생활 규정에 따라 날마다 휴대전화를 걷고 있습니다.
[이하윤/해성중 3학년 :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으니까 수업에 집중할 수 있고요. 친구들이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으니깐 방해가 되지 않아서 (좋아요.)"]
하지만, 학교 측 부담도 적지 않습니다.
지난 2천14년 국가인권위원회가 휴대전화 일괄 수거를 인권침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박경문/해성중 민주시민교육부장 : "임의로 저희 마음대로 하기엔 부담이 된 상황이어서 생활규정에 학생,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 한해서 수거할 수 있다라는…."]
실제, 지난해까지 전북지역 학교 10곳 중 1곳만이 학생들의 휴대전화를 일괄 수거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인권위가 기존 판단을 10년 만에 뒤집었습니다.
사이버 폭력 등 교내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교사와 학생의 인권침해와 학습권 침해가 더 클 수 있다고 본 겁니다.
전북교육청은 학교 구성원의 합의를 강조하면서도 이런 취지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이정현/전북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장학사 : "학생 생활교육 길라잡이 내용에 이런 인권위 결정문의 수정된 내용을 포함하여 개정 작업을…."]
한편, 인권단체들은 정부의 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전면 도입과 모순된다며, 통신 자유권의 과도한 제한이라는 문제 제기를 지속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촬영기자:한문현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스마트폰 #휴대전화 #인권위 #인권침해 #학교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