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종류- 요로상피세포암, 상피내암
Автор: 상락수차가버섯
Загружено: 22 апр.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4 484 просмотра
상락수차가버섯 건강정보 방광암종류- 요로상피세포암, 편평상피세포암, 상피내암 정보입니다. 상락수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astra4242
에서도 확인가능합니다.
방광암 수술 후 방광암종류, 악성도, 그리고 표재성방광암이지만 점막하층침윤 등에 따라 향후 방광암 재발 및 치료방법에 차이가 있다란 것을 의외로 모르시는 경우가 있어 이영상에서 방광암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방광암종류 1 - 요로상피세포암(uroepithelial carcinoma)
이행상피세포암종이라고도 불리는 요로상피세포암은 방광암의 가장 많은 종류(경우)입니다.
소변과 직접 접촉하는 요로상피세포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조직학적으로 유두모양(papillary : 말미잘 모양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특징이 있죠.
방광암 요로상피세포암(이행상피세포암)은 악성도에 따라 1973년 WHO 기준에서 3등급으로 구분(악성도가 낮은 1등급, 중간단계 2등급, 악성도가 높은 3등급)하였으나, 2등급 오차가 많아 근래에는 악성도가 낮은 low grade와 악성도가 높은 high grade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방광암 환우분들의 방광암 수술 후 조직검사결과서에서는 방광암 악성도에 대해 이 2가지 분류가 현재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
차후 기회가 되면 표재성 방광암 중 점막하층침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겠지만, 통계상 1등급에서는 6%, 2등급에서는 52%, 3등급에서는 82% 이상이 점막하층침윤성인 것으로 보고 되는데...
등급이 낮은 비교적 순한 방광암이라도 점막하층침윤된 경우라면 재발방지를 위해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라는 것을 아셔야만 합니다. 3등급(high grade)이면서 점막하층침윤이신 경우는 더더욱 관리하셔야 하죠..
방광암종류 2 편평상피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방광암종류 중 요로상피세포암(이행상피세포암) 방광암에 비해 악성도와 침윤성이 아주 높은 방광암입니다. 통계에 의하면 전체 방광암의 3%정도, 그리고 남자에게 많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여러 방광암종류 중 편평상피세포암이 예후가 좋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의학계에서는 발견이 늦어져서 조기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기 때문이라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물론 조기발견이 늦어서 일수도 있겠지만, 조기발견이 늦어서라기 보다 위에 잠깐 언급한 악성도의 원인, 그리고 유두형이 아닌 편평상피 모양으로 인해 넓게 퍼져 있는 경우가 많아, 완벽히 수술로 제거하는데 어려움도 한 이유일거라 생각합니다.
방광암종류 3 선암(샘암종 : adenocarcinoma)
선암(샘암)이란 샘세포에 생긴 암을 말합니다. 통계적으로는 방광암의 2% 이하로 드문 암종이며 요막관에서 발생하는 요막관 선암과, 그 외의 방광의 어느 부위에도 생길 수 있는 비요막관(원발성)선암으로 나뉩니다.
참고) 요막관이란 태아의 방광과 탯줄을 연결하던 요막의 잔존물로, 태어나면 탁혀 퇴화 되나 그렇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있음
방광암의 선(샘)암은 대부분 분화도(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특수화하고 성숙한 정도)가 나쁜 침윤성 종양인데 방광부분절제수술, 혹은 방광적출수술을 시도해도 예후가 좋지 않은 방광암종류입니다.
방광암종류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이란?
분화도가 아주 나쁜 암세포로 방광상피에만 존재하는 방광암으로 침윤성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방광암입니다.
암세포가 방광벽을 따라 요로상피층을 두껍게 만들고 요로상피층 모양은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를 상피내암이라 하는데 표면에서 자라 침윤하는 특징이 있어 유두모양의 암보다 분화도가 나쁘고 악성도가 높은 방광암종류입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