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액운 액살 없애고 소원 성취 위한 방생기도 드립니다 강릉 사근진 해변 - 대전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Автор: 굿엔트
Загружено: 15 июн.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2 609 просмотров
#액운 #액살 #소원 #성취 #방생기도 #강릉 #사근진 #해변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 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 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
방생재(放生齋)
잡혀 있거나 갇혀 있는 물고기나 짐승들을 놓아주는불교의례.
방생은 살생과 대비되는 것으로 살생을 금하는 것이 계율을 지키는 것이라면 방생은 계율을 실천하는 것이다. 또한 살생을 금하는 것이 소극적인 선행이라면 방생은 적극적인 작선(作善)이다. 방생재는 보통 음력 3월 3일과 8월 15일에 많이 행하는데, 그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오늘날 이 방생재는 수륙재와 혼동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다. 대개 오늘날의 방생재는 물고기를 강에 놓아주고 방생하는 의식을 행하는데, 수륙재도 언제부터인가 ‘수(水)’자가 강조되어 강가나 바닷가에서 의식을 행하게 되면서, 두 의식을 같은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륙재는 유주(有住)·무주(無住)의 고혼을 위하여 물 맑은 곳이나 청결한 산천에서 천도식을 지낸다는 뜻을 지니는 것이다. 방생재는 자비를 바탕으로 한 수행을 보다 적극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들이 잡은 생명 등을 놓아주면서 베푸는 의식이므로, 근본적으로 그 취지가 다른 것이다.
적석도인(赤石道人)은 다음과 같이 방생의 공덕을 일곱 가지로 나누어 말하고 있다. 첫째, 자식 없는 자는 반드시 방생하라. 왜냐하면, 남을 살게 해주는 것은 반드시 나를 생하게 하는 것이니 방생을 하면 다남자(多男子)의 경사가 있게 된다. 둘째, 자식을 임신하거든 반드시 방생하라. 왜냐하면, 방생하여 만물의 생을 보호하면 산모가 보호를 받게 된다. 셋째, 기도함에는 반드시 방생하라. 기도함에 방생의 공덕이 크기 때문이다.넷째, 예수재(預修齋)를 올리고자 하면 방생부터 먼저 하라. 왜냐하면, 방생하여 불보살의 감동을 받으면 반드시 큰 복을 받게 된다. 다섯째, 재계(齋戒)를 가짐에 있어서도 방생하라. 여섯째, 녹(祿)을 구함에 있어서도 방생하라. 일곱째, 염불함에 있어서도 방생하라.
방생의 정신은 자비의 정신이며, 자비의 정신을 보다 널리 적극적으로 펴기 위하여 방생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생이 의식화된 것이 방생재이다. 방생재의 의식절차는 대체로 방생할 장소, 즉 물고기이면 강, 산짐승이면 산에 대하여 방생될 장소를 정결히 하는 의식을 먼저 치른 뒤 물고기나 짐승을 놓아주고, 그들이 불보살의 큰 위신력에 의하여 다른 몸으로 태어나 불제자가 되기를 발원하고 끝난다.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우 기도는 '눈을 안으로 돌이키는 노력', 즉 내 욕심과 고집을 버리고 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깨닫겠다는 원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의 행위이다.
기도는 신 또는 거룩히 여기는 대상에게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인간의 행위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가야 할 길을 구하거나, 도움을 구하거나, 죄를 고백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목적을 위해 신성하게, 영이 가득한 말을 연속적으로 하는 형태를 띠나, 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동을 통틀어서 '기도'로 볼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도하는 사람은 독백을 하거나, 말없이 수행하는 묵도의 형태를 띤다. 또한 말뿐만 아니라, 눈을 감거나, 합장, 엎드리기, 또는 일정 구획을 걷는 등의 신체적인 행위 또는 자세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기도는 개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여럿이서 함께 행하는 경우도 있다. 기도에 쓰이는 말은 찬송, 주문, 또는 기타 자발적인 발언의 형태를 취한다.
기도의 의식은 이념이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교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 가운데 하나이다. 단,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명절 혹은 제사 때 조상을 기리거나, 천지신명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우를 보고 소원을 빌거나, 애니미즘, 막연한 대상에게 취하는 감사 등의 행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기도' 또는 '빎'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며, 예컨대, 무엇인가에의 '빎' 또는 기도는 보다 근원적인 욕구에 근거한 인간의 보편적인 활동 양식으로 볼 수도 있으며 그 대상, 때, 장소, 개인의 사상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다.
재수(財數):재물이나 좋은 일이 생길 수 있는 운수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오늘 재수없다.’라는 말처럼 하루하루의 짧은 운수를 말하지만, 집안이나 가족을 단위로 넓은 의미의 운수를 말하기도 한다. ‘그 집은 재수가 없다.’는 말도 한다. 특히, 개인의 재수를 말해서 신수(身數)라고 한다.
신수점은 개인의 운수를 점치는 일을 말한다. 그러나 재수를 점치는 것은 별로 없다. 다만, 아침에 손을 베었을 때 “오늘 재수가 옴붙었다.”고도 한다. 이는 자기 행위나 다른 어떠한 행위의 결과로 인해서 재수가 좌우된다는 메커니즘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지닌 운수에 의하여 또는 신에 의하여 재수가 좌우된다고 하기보다는 어떠한 부정한 행위로 신을 노엽게 하여 자신의 재수가 결정된다는 생각이 강하다. 여자가 사내의 앞을 지나가면 재수없다는 것 따위이다.
그러나 보다 추상적으로 말해서 ‘재수가 물밀 듯한다.’라든지 ‘재수없는 놈은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와 같은 것은 몸에 지닌 운수에 의한 것이라는 뜻이 있다.
위에 든 간단한 나쁜 재수는 침을 뱉는 정도의 가벼운 주술로 처리하지만, 후자의 경우와 같은 내재적인 운수는 어떠한 적극적인 의례를 통해서 대처할 수 있다고 믿는다.
불교식으로 재수를 기원하는 것이 ‘재수발원(財數發願)’이고 재수를 빌기 위해서 부처님께 불공을 드리는 것은 ‘재수불공’이다. 재수를 빌기 위하여는 무당에게 굿을 의뢰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이것은 개인의 재수보다는 한 집의 재수를 비는 것이다. 가족 중에 상업을 하거나 주된 수입을 담당하는 가족원을 위한 굿처럼 강조되는 경우라도 역시 가족 전체를 위한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굿이 된다.
재수굿이라 하여 어느 일정한 신에게만 재물을 바치고 굿을 하는 것이 아니고 역시 전체적으로 모든 신들을 모시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것은 재수라고 하여도 재물만 풍족하면 되는 것이 아니고, 가족원들의 건강은 물론이고 인간관계가 좋아야 하는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있기 때문에 항상 굿은 복합적으로 행하여진다.
그러나 많은 신들 가운데 특히 집안의 재물을 담당하는 ‘터줏대감’이 가장 중요한 신으로 모셔진다. 집집마다 뒤뜰에 모셔둔 터줏가리가 있는데 재수굿에서 주로 이 터줏신·터줏대감을 모신다. 무녀가 떡시루에 쇠다리를 얹고 춤을 추면서 재수사망을 섬겨주겠다는 무가를 부른다.
굿 가운데 이 재수굿은 가장 신이 나며 가족들이 즐거워하는 굿이기 때문에 무당들은 계속 밝은 표정을 하게 되고 가족들도 즐거워하며 무감을 서는 등 축제적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무당은 부채로 재물을 집안으로 불러들이는 시늉을 한다.
재물의 운수는 이렇게 신에 의하여 밖으로부터 집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굿을 하는 것은 일종의 신앙적인 자본의 투자이기도 하다. 또한, 단순히 무당에게 돈만 주는 손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재수굿(財數─):중부지역에서 집안의 안녕함과 재복 그리고 자손의 창성, 가족의 수복을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
주로 중부지역에서 행하여지는데, 서울과 경기 북부지역에서는 강신무가 하고 경기 남부와 부여지방에서는 세습무에 의해서 전승된다.
집안단위로 행하여지면서 산 사람의 길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죽은 이의 영혼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진오기굿과 대별되는데, 재수굿이라는 이름 외에 천신맞이·경사굿·안택굿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전라도 지역의 도신, 황해도지역의 철물이굿의 목적과 기능이 대동소이(大同小異)주 01)하다.
재수굿은 정초 또는 봄·가을에 하는데 굿 날짜는 가족의 생기복덕에 맞추어 결정한다. 정기적으로 해마다 또는 3년에 한번씩 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집안에 우환이 생긴 경우에는 재수를 빌기 위하여 특별히 행하기도 한다. 서울 지역 재수굿을 중심으로 흔히 열두거리라고 부르는 제차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부정 : 굿하기에 앞서 부정을 가셔 제장을 정화함으로써 신을 청해들일 준비를 하는 의례이다.
② 가망 : 신격은 분명하지 않으나 제일 먼저 맞이하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중요한 신격으로 여겨진다. ‘본주고 씨준 가망’이라는 무가내용으로 조상신이라고도 하고 신 자체를 의미한다고도 해석한다.
③ 말명 : 조상신을 모시는 의례이다.
④ 산마누라 : 산신을 의미하는데 주로 최영장군을 모신다.
⑤ 별상 : 손님이라고도 하며 천연두신을 모시는 거리이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억울하게 죽은 사도세자를 모시는 굿이라고도 한다.
⑥ 대감 : 재수와 집안에 이익을 주는 신으로 믿는다. 재수굿은 흔히 대감놀이라고도 하는데, 그 이유는 대감신의 구체적 직능이 재수굿의 목적과 일치하는 것과 대감굿의 성격이 매우 유흥적이어서 일반인들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이다.
⑦ 제석 : 불교적인 색채가 짙어 무당이 승복을 입고서 중타령을 부르고 바라춤도 추지만 그 기능은 복을 주는 신이다.
⑧ 호구 : 처녀신으로 믿는다. 특히, 궁녀가 죽은 신이라고도 하는데, 무당이 붉은 치마를 쓰고 굿을 하다가 액을 걷어 가는 의미에서 치마를 벗는다. 서울에서는 천연두신이라고도 한다.
⑨ 군웅 : 장수신으로 화살을 쏘아 외부에서 들어오는 액을 막는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