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에 대한 보상을 달라는 초5 아이_2012.07.18 - 서천석 선생님 | 우리 아이 육아 훈육 부모 교육
Автор: Parenting in Korean
Загружено: 28 сент.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213 просмотров
아이 나이별 재생목록 들으러가기: / @parentinginkorean7011
---
육아 블로그 https://www.jihyeyun.com
---
초등학교 5학년 남자아이인데
기말고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5과목 중 수학과 사회 과목에서 1문제씩 을 틀렸어
라고요
1학년부터 지금까지의 성적은 뭐 한 문제를 실수한 기도하고
2문제를 틀릴 때도 있었습니다
학원은 영어만 다니고 있고
나머지 과목은 스스로 공부합니다 스스로 공부도 하고
친구들과 사이도 좋고
노는 것도 열심히 거 뭐 저를 힘들게 하는 건 없어요
그런데 아이는 좋은 성적을 받아도 별로 즐겁지 않다
그래요
왜냐 다른 친구들은 평균이 90점 이상이면
부모님들이 스마트폰을 사준다고 도하고
100점을 맞은 과목 수에
따라서 만 원씩 받기로 했다
능동 엄마들과 어떤 빵을 약속했다는 데
자기는 시험을 잘 봐서 아무 보상도 없으니
재미가 없다네요
아이의 목표는 올백 이기 때문에
아이돌 자기 성적에 만족을 못 하고
저 또한 엄마 이기 때문에 아
이거 실수로 문제를 틀리기라도 하면
아쉬움을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저는 점수에 따라 보상을 하고 싶진 않은데
시험성적이 좋으면 보상을 해 줘야 하는지요
그리고 올 백만을 목표로 하는 아예 생각과 아
이정수의 아쉬움을 표현한
제 행동에 문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의 시험 결과에 대해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좋은 부탁드려요 하는 생각이 드네요
100점을 마시려고 를 써야 되는 현실이
저는 그러면서 무슨 색으로 했냐면 기말고사 라든가
중간 고사 라든가 이런 것들이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어떤 좋은 효과가 있을까요
4시험 일하는 거는
기본적으로 한 번쯤 다시 정리해서
공부 해 보자는 아이들에게는 그런 의미인데
아이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집중해야 되는데
알고 보면 교사가 잘 가르치고 있는데
지금 애들이 어느 정도 성취
이루고 있는 행정적인 필요성이 있어요
그 자료를 주지 않는 게 중요한데
그거를 아이들한테 만드는 것이 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힘들어서 지금 정부에서도 지도 평가를 만약에 한다고 하면
솜씨도 평가 결과를 선생님들이 알고
어떻게 이거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있구나
하고 판단을 하면 되는데
그게 아니라 이제 애들한테 성적표를 아주 전화 성적표를 주고
그것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거짓말로 드러나 있습니다
아이들이 좋은 성적 나쁜 성적을 어렸을 때
어렸을 때 그런 결과를 가지 신청하게 되면
아이들이 결과에 집착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뭘
어떤 상황을 만들지 않으면 시험문제가 어려운 거 싫어해요
어려운 문제를 풀 주 안으로 갑니다
어려운 문제 모르는 걸 해결해 가는 거지
공부 잘하는 문제집을 볼 때
어려우면 막 짜증을 내는 55서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지
꿀꿀이 공부를 나를 괴롭히는가
아주 어릴 때 그럼 공부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그것이 각인 되어 가지고 벗어날 수가 없습니다
혹시 시험이 없는 세상을 연결 보신 적 있나요
누군가 성취도 평가 를 하는 것이 좋은지
나쁜지 에 대한 연구는 시험을 뭐 그 결과를 가지고
2시간 않고 한 명이 올라간
당연히 어느정도 의미가 있습니다
근데 그것이 아이 개인 개인이 노력을 하고
노력 자체를 평가하는 것이 좋지
결과를 부작용 떨어지고
그다음에 안 되면 다음 시험에 못 마
기분 나빠지는 어머님은 칭찬받으면 생각하는데
늘 칭찬을 받을 수도 있으니까
그게 결과에만 몰두하면서 거기에 매달리다 보니까
아이들이 쉬운 시험을 만물트럭
외국 네네 왜 공부를 하고 있는지 본질적인 잃어버리고
내가 나를 위해서 노력하고
노력이 나한테 즐거움을 준다
느낌이 있어야지 인생을 굉장히 힘차게 살 수 있는데
내적동기와 없애 주면 하고 돈 없는 거지요
학문의 깊은 분야를
다른 인생이 기쁘면서도 많이 해 가지고 생각합니다
그랬으면 좋겠다는 세상은 그 쪽인데
손실은 이게 또 성질 올려야 되니까
어머니 말씀대로 어머님 아버님
어머님 애청자 유분이 학생들
점수에 따라 보상이라는 것이 좋은 것이 나쁜 것이냐
이렇게 물어 보셨어요 주는 메시지가 있어요
지금 보상을 받았어요 잘하고 있어
근데 532 주는 영향이 별로 없다는 거예요
오상준 영향이 없는데
물론 내가 갖고 싶은 건
자기도 칭찬을 받고 싶은 두 번째는
친구들이 가진 좋은 물건을 자기도 좀 갖고 싶다
이런 마음이 있는 것을 시험 결과 상관없이 됩니다
시험 결과
장관 이제 어느 정도 해결해 주면 되지
시험을 잘 보면 해 주고 못 보면 안 해준다
이런 방식으로 끌고 가지 않아도 됩니다
네가 그런 것이 필요하면 엄마가 해 주면 된다
그리고 저는 오히려 시험 결과
나오기 전에 해 줘라 계획을 세우고
그걸 얼마나 실천 하는지 노력하는 모습
내가 노력하는 과정이 점수를 노력을 충분히 했다는 결과와
상관없이 보상을 해 줘 좋습니다
노력하는 모습이 엄마가 소중하다는 메시지를 줘야 돼
더 초점을 준다는 걸 보상을 주실 거면
그렇게 결과를 가지고 보상하는
오히려 잘못된 길로 빠질
온 세상이 다 부상에 저기 있지 않습니까
기본적으로 재는 인간사회 보편적인 모습이 때문에
제가 나쁜 게 아니라
보상에는 독이 되는 보상 있고
약이되는 보상이 있다는 거예요 이 결과에 보상을 하기 시작하면
별로 약이 안 되고
왜 독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교수라고
동기 이론에 대해서 이제 가장 많이 연구한 결과
아이들한테 좋은 점수를 가지고 보상을 했을 때
그 결과가 어떻게 됐냐
더 오히려 좋은 점수를 오늘 확률이 높고
노력한 과정에 대해서
한 아이들이 더 높은 점수를 가 높은 거 아니야
어려운 문제를 주웠을 때 주었어요
아이들은 결과를 가지고 보상을 했고
한 아이들은 노력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상을 했는데
그 다음 시험에서 문제를 내면 이 문제 어려운 문제
다 어려워서 너희들이 뭐 풀 수 있다
했을 때 결과를 가지고 보좌관
아이들은 아예 그 문제를 거들떠
보지 않는 경우가 많았어
노력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상을 받는 아이들
그래요 그 문제에 달려들 확률이 높아
우리가 그냥 아이들을 동기를 높이고
열 발전시키는 과정이 있지 않습니다
사회에서 이랬으니까 그냥 월급 주고 축구 한 거 있잖아
이런 걸 우리가 아이들한테 하는 게 아니라
발전시키려는 과정이라면
발전시킬 수 있는 보상을 주는 것이 많습니다
잘못된 거기에 머무르고
오히려 위험을 회피하기 초등학교
그렇게 못 해 이제 딱 나오는데
이제 시험문제를 시험보고서
막 집에 두 문제 밖에 안 챙겼어
네 네 엄마 문제를 보면 틀린 거
딱 눈에 집중해서 3분 간 보고 계세요
3분간 보다 보면 엄마 표정으로
내가 좀 큰 문제구나 그런 생각을 하게 되죠
그러다 보니까 그런 다음에 엄마 생각은 났어요
칭찬해 주는 게 좋다고 지금까지 남편도 잘 해보자
이렇게 말했지만
작은 실수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그 결과에
집착하는이유 결과에 대한 보상을 집착하는 이유는
엄마는 결과 있기 때문입니다
결과를 보지 않아도 됩니다
시험 문제 문제 질 보지 않았어요
에 있는 앞에서 보지 않고
내가 점수를 얘기해도 별로 관심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별로 점수 결과를
제가 묻지 않은 초등학교
아이들한테 점수를 말하지 않고
그 전에 과정에 대해서 얘기 하는 게
훨씬 더 많이 힘을 줍니다
아이들한테 더 열심히 해 보고 싶은 마음을 주고
아빠는 뭘 중요하게 아직 가는 건 미리 공부하는 거
이런 걸 주면서 결과
아빠는 중요시 여기지 않는다
어려운 문제 도전 않으십니다 있습니다
요즘 아이들이 찜질방 풀어요
어려운 문제를 아
이거 뭐야 짜증 내고 안 풀려 없습니다
이걸 좀 보면서 모르는 문제
표시해 봐라 모를 거 같은 문제 어려울 것 같은데
이제 딱 그것만 하지만 5분
그건 나중에 남겨 두고 생각
좀 여유가 없을 때는 공부를 시킵니다
도전 알면 자식아 못 하시는 거 같아요
근데 김나경 님이 문자 주셨어요
시험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저는 시험 끝나면 수고했다 하며
아이가 좋아하는 맛난 음식 만들어 주고
끝내요 결과에 따라 보상하는 건 좋지 않은 것 같아요
물론 부모님 이제 학년이 올라갈수록 촉촉하고
우리가 지금 만들어 가는 거니
아이가 사회 나가서도 삶을 사는 자세를 결과에
아이가 어떻게든 대충 결과만 오더블럭 전법을 찾으라고 알려
준비하는 과정이 즐거운 무덥고
그 결과를 가지고 즐거움으로 않는 그런 경우
즐거움이 너무 작거든요
그런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군요
---
아이 스티커 모으기,아이 내적 동기 부여,내적 동기 부여 하는 법,내적 동기,공부에 대한 보상,공부 칭찬 하는 법,외적 동기,학문의 기쁨 찾기,인생 기쁨 찾기,성적 칭찬하는 법,칭찬 제대로 하는 법,칭찬이 나쁠 때,나쁜 칭찬,좋은 칭찬하기,성적 보상 핸드폰,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