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돕는 사람은 따로 있다? 천지신명이 점지한 특별한 운명! - 송파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천지신명 천상장군
Автор: 굿엔트
Загружено: Дата премьеры: 2 ма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 868 просмотров
#하늘 #사람 #천지신명 #점지 #특별 #운명 #송파점집추천 #잠실점집 #잠실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인동살풀이 #지노귀굿 #성주운 #재수굿 #천지신명 #천상장군
천지신명 천상장군
상담문의 : 010-9043-1588
상담위치 : 서울 송파구 삼전로4길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민속문화를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이야기와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 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 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
운(運)
실력, 노력이라는 내적 요소 외에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모든 것. 사람의 평가를 결정짓는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말하며 세상의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다.
이것이 따르기만 한다면 세상에 불가능한 게 없을 정도로 온갖 부정적인 조건들을 쉽게 뛰어넘을 수 있다.
이게 따라주지 않으면 아무리 개인이 노력해도 쉽게 될 일도 제대로 안 풀리며, 반대로 운이 제대로 따르는 경우 노력과 실력 없이도 억만장자가 된다.
물론 운만으로 세상이 결정되는것은 아니다. 계획과 노력이 있을때 운이 방점을 찍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행운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 또는 자신에게 닥친 불운을 최소화 하기 위해선 계획과 노력이 필수 요소이다. 물론 그 모든것을 뛰어넘어 인간이 어찌할수 없는 불운과 행운도 있긴 하나, 그런 경우가 닥칠 확률보다 소소한 운들이 찾아올 확률이 훨씬 크므로 운은 부가요소지, 만사를 주관하는 절대적인 것이 절대 아니다.
이것의 절정을 찍은 감독을 운장이라고 부른다.
운이나 불운은 한꺼번에 온다는 말도 있으며 네이버 캐스트에서는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했다. 만약에 운과 불운이 각각 무작위로 일어난다면 군집 현상에 의해 일정한 간격보다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생기게 되고, 이 때문에 가끔가다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과학이고 나발이고 항상 일관되게 운이 나쁘거나 좋은 사람도 늘 존재한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이 있듯이 종종 소설, 드라마, 영화 따위에서 극한의 행운과 극한의 불운을 서로 짝을 짓는 개념을 소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냥 지나가다 벼락을 맞는 사람은 로또에도 당첨될 수 있다던가 하는 얘기들이 있다.
수학적으로 보면 운은 예측 불가능한 매우 다양한 변수들이 공존하는 모집단이다. 여기서 '매우 다양한'은 무한대를 말한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무수히 많은 원숭이에게 마찬가지로 무수히 많은 타자기를 건네 주어 아무렇게나 영원히 치게 하다보면 그 중 성경 한권이 완성된다거나, 동전을 영원히 던지다보면 억단위로 앞면만 나온다던가 하는 상상하기 힘든 일들도 일어나는 것도 가능은 하다는 것이다. 확률이 0이 아니기 때문에.
더 철학적으로 나가면 결정론이라고 하는데, 모든 우주만물를 관찰할 수 있다면 모든 사건들을 예측 가능하므로 세상 모든 일의 결과는 결정되어있다는 식의 이야기가 된다. 하지만 결국 기껏 5분 앞도 못내다보는 인간은 이 운이라는 요소 즉, 불확실한 미래에 휘둘리게 되어있다.
신(神):초인간적 또는 초자연적 힘을 지닌 신앙 대상을 의미하는 신(神).
명명(冥冥)한 중에 존재하며, 불가사의한 능력을 가지고 있고, 인류에게 화복(禍福)을 내린다고 믿는 신령이다. 19세기의 학자들 가운데 신이란 무엇이냐는 문제로 그 신의 기원을 탐구한 사람이 많다.
멜라네시아 원시인들의 종교를 연구한 코드링턴(Codrington,R.H.)은 그들의 원시적인 삶 속에서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어떤 초자연적인 힘이라고 보았다. 이 초자연적인 힘을 코드링턴은 마나(mana)라고 불렀는데, 이 힘은 어떤 인격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이롭게 또는 해롭게 작용할 수 있다.
이 힘은 일반적인 물리적 힘과도 구분되는 것으로 선·악 중 어느 쪽으로도 작용하고, 이 힘을 소유하는 자는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마나는 어떤 것으로 고정될 수 없고, 거의 모든 사물에 들어가 있을 수 있으며, 물이나 돌, 짐승의 뼈를 중간 매개로 하여 그 힘을 발휘할 수도 있고, 정령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마나의 관념에서는 최소한 어떤 주술적인 힘이나 생명관이 있으므로 종교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를 이루고 있고, 이 기본적인 힘에 관한 관념이 발전하여 여러 신들의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
한편, 코드링턴이 마나설을 이야기하기 전에 타일러(Tylor,E.B.)는 이른바 애니미즘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타일러는 원시인들도 인간적인 면에서는 현대의 인간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보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통해 영(靈)의 세계를 유추할 수 있다고 한다.
첫째, 원시인들도 현대인과 똑같이 삶과 죽음의 차이를 구별할 줄 알았다. 죽은 사람은 산 사람이 가지고 있는 무엇인가를 결여한 상태인데, 그 무엇은 생명 또는 ‘애니마’라고 할 수 있다. 그 무엇(생명)이 죽음 뒤에 육체에서 분리되어 떠나가는 것이라고 한다.
둘째, 원시인들도 현대인과 똑같이 꿈이나 환상 속에서 자기가 육체를 떠나 분리되는 경험을 했다는 것이다. 꿈속에서 나는 미국으로 건너가 친구와 식사를 할 수도 있는데, 나의 육체는 한국에 그대로 있다. 분명히 꿈속에서 나의 육체를 떠나간 무엇인가를 전제하지 않을 수 없고, 그것은 육체와 구별되는 영이라고 하였다.
원시인들은 이 같이 두 가지 현상을 응시하면서 모든 사물은 물질적인 측면과 영적인 측면이 종합되어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특히, 육체를 떠난 영을 정령(spirit)이라고 하는데, 이 정령이 발전하여 여러 신격(deity)들이 생기고 마침내 신(god)을 믿게 되었다고 한다.
또 독일의 언어학자 뮐러(Muller,M.)는 자연물이나 천체 현상을 종교관념으로 숭배하는 것에서 신의 기원을 찾았다. 그는 많은 신들의 이름을 조사해 보고 대부분이 자연현상과 관련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그는 자연현상이야말로 최초로 숭배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 틀림없다고 믿고, 모든 신들은 바로 그러한 자연현상을 의인화해서 부른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 밖에도 토테미즘이나 조상 숭배에서 신의 기원을 찾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학자들은 신의 기원을 이상과 같은 어떤 ‘유일한’ 원인에서 찾을 수는 없고, 아무리 원시인들이라 할지라도 종교 경험이 처음부터 극히 다양한 원천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데 일치된 견해를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종교의 기원을 단일한 원인에서 찾을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신들의 모습도 인간의 지적 수준이나 사회적인 발전과 어느 정도 상응하여 그 성격이 결정되고 있다는 데 의견을 일치하고 있다.
그런 각도에서 신들의 유형을 보면 씨족신적인 면이 오래되었고, 사회제도가 발달하고 변천함에 따라 각 사람의 개인의식과 기능과 신분 등이 분화·발전하는 것과 동시에 여러 기능신(functional god)이 등장하게 된다.
옛날에는 한 신에 모두 귀착되고 있던 기능들이 분화하여 씨족신인 아버지신 하나로 합쳐지지 않고 천공(天空)의 신, 바다의 신, 바람의 신, 낙뢰의 신, 어업의 신…… 등으로 나타난다. 신의 형태 중에서 또 하나 두드러진 것은 자연신(nature god)의 형태이다.
자연신이라는 것은 글자 그대로 자연현상의 어느 특정한 면들이 신격화되어 숭배되는 것을 말한다. 자연현상의 모든 면들이 신격화되는 것이 아니라, 그 중에서도 인간생활과 관계가 깊고 이해관계가 많은 면들이 신격화되는 경향이 있다.
농경이 큰 비중을 차지했던 우리 나라에서는 대지모신(大地母神)이 특별히 신격화되어 숭배되었고, 인도차이나반도의 여러 민족 사이에서는 태양신, 노르웨이에서는 항해와 관련하여 바람의 신이 특별히 중요시되었다. 인도의 토다족(Toda族)처럼 젖소 사육을 주된 생업으로 하는 민족에서는 소를 신성시하였고, 아이누족은 곰을 신성시하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형태는 최고신(high god)에 대해서이다. 시간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은 한정된 세계관으로부터 무한한 우주관으로 생각을 확대하게 되고, 그 세계를 지배하는 법칙이나 질서를 인식하게 된다. 만유(萬有)를 통일하고 거기에 일정한 질서를 부여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함께 신들의 세계에서도 비슷한 일들이 일어나는데, 그것은 우선 잡다하게 많은 신들이 하나의 원리로 통일되는 초월신이 중요시된다. 사실 전 시대에는 신들이 그 기능이나 형태에서 서로 다르고 신들 상호간에도 어떤 절대적인 연관이 없었으며, 오히려 저마다 독자적인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하나의 지배적인 원리에 의해 신들의 세계가 정비됨에 따라 최고신의 관념이 생기게 되는데, 인도의 브라만, 유대의 야훼신, 로마의 주피터, 중국의 상제(上帝), 페르시아의 미트라 등은 모두 그러한 최고신들이다. 물론, 이러한 최고신의 성립은 인간의 사고가 확대되는 것과 일치하지만, 정치·경제·사회적인 발전과도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민속신앙의 신
한국의 민속신앙에서 신(神)이라는 말은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그것은 대체로 영어의 gods(God가 아닌)나 deities와 맞먹을 수 있는 개념이다. 민속신앙에서 숭앙되어 축원과 굿을 바치는 효험 있는(영험 있는) 신비한 존재가 곧 신이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