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잇] '역대 최악' 경북 산불 한달…남은 과제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Автор: 연합뉴스TV
Загружено: 22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2 469 просмотров
[출연: 문현철 한국재난학회 부회장]
영남권을 휩쓴 대형 산불이 발생한 지 오늘로 한 달째를 맞았습니다.
그러나 화마가 지나간 자리 상흔은 여전합니다.
이번 대형 산불을 교훈 삼아 근본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데요.
문현철 한국재난학회 부회장과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이번 산불 피해 규모는 역대 최악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경북의 산림피해 면적이 9만ha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서울시 전체 면적(약 6만ha)의 1.5배가 넘는 규모라고요?
[질문 1-1] 앞서 산림청은 지금까지 이번 산불 영향구역이 4만5천여㏊라고 발표했습니다. 실제 피해 규모가 발표 수치의 2배 수준인 건데, 이렇게 차이가 난 이유는 뭘까요?
[질문 2] 불은 모두 꺼졌지만 여전히 복구 작업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상황은 어떻게 지켜보고 계십니까? 어떤 점이 미흡하다고 보세요?
[질문 3] 전문가들은 이렇게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이유로 “전술·전략의 실패”라고 말하는데요. 경보와 대응 시스템이 산불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겁니다. 산불 대응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은 늘 제기되어 왔는데, 제대로 실행되진 못했거든요.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질문 4] 막대한 산불피해로 재난대응체계의 재점검 필요성이 커지면서 국회에서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교수님이 좌장을 맡으셨던데요. 이번 산불 이후 어떤 대책이 나오고 있습니까?
[질문 5] 농기계 등을 동원해 마을 단위로 주수,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미리 물·약재를 뿌려두는 것도 대책으로 제시되기도 했고요. 산불 차단 기반 시설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는데요.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질문 6] 무엇보다 산불이 대형화되고 상시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인명 보호 중심의 대응 체계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건조한 환경과 강풍이 결합으로 빠른 불의 위력은 더 강해질 것이라고 하는데.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질문 7] 산불로 산림이 파괴된 상황에서 집중호우가 쏟아지면 산사태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고 합니다. 장마철 집중호우 시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나오는데요?
[질문 8] 특히나 산불로 인한 각종 오염물질이 인근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수질오염이 발생하는 2차 피해도 우려된다고 하는데요. 경북도는 이를 막기 위해 산불 피해가 난 시·군과 함께 오탁 방지망 설치를 하기로 했습니다. 효과가 있을까요, 상수원 보호 대책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질문 9] 무엇보다 대형 산불을·간접적으로 경험한 지역 주민들의 건강이 걱정됩니다. 화재 현장 특유의 매캐한 냄새도 여전하고, 각종 감염병에 취약한 상태라고 하는데요. 산불 트라우마 역시 상당해 보입니다. 이런 치료도 병행되어야 할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질문 10] 마지막으로 산불피해지역에 대한 산림복원, 궁극적으로는 산림의 생태계 복원이 이뤄져야 할텐데요. 생태계가 옛 모습을 되찾으려면 어느정도의 시일이 걸릴까요?
▣ 연합뉴스TV 두번째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https://bit.ly/3yZBQfA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
![[뉴스잇] '역대 최악' 경북 산불 한달…남은 과제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ricktube.ru/thumbnail/C8LHFQW5LNw/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