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날엔 나무늘보가 바다에도 살았었대요! ^.^
Автор: 과학드림 [Science Dream]
Загружено: 23 июл.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717 789 просмотров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https://toon.at/donate/sciencegive
=============================================
현존하는 나무늘보는 고작 6종에 불과하지만
수천~수백 만 년 전에는
8개 과 50종 이상의 나무늘보 사촌들이 살았습니다.
땅에서는 땅늘보가 활보했는데,
메가테리움처럼 코끼리만한
거대 땅늘보가 있었는가 하면,
나무를 오르내릴 줄 아는 몸길이 1m의
작은 땅늘보, ‘하팔로프스(Hapalops)’와
‘네마테리움(Nematherium)’도 살았죠.
이렇듯 아메리카 대륙에는
각양각색의 (나무)늘보들이 살았는데…
한 가지 신기한 건,
이들 중에는 바다에 사는 늘보도 있었다는 사실이죠.
바다에 살았던 나무늘보 이야기,
영상을 통해 만나 보시죠!
#나무늘보 #진화 #바다늘보
=============================================
[참고 자료]
Jennifer L. White. (1993). "Indicators of locomotor habits in Xenarthrans: Evidence for locomotor heterogeneity among fossil Sloths."
Francois Pujos et al., (2011). "Hiskatherium saintandrei, gen. et sp. nov.: an unusual sloth from the Santacrucian of Quebrada Honda (Bolivia) and an overview of middle Miocene, small megatherioids."
C. de Muizon et al., (1995). "An aquatic sloth from the Pliocene of Peru."
C. de Muizon et al., (2004). " The evolution of feeding adpatations of the aquatic sloth Thalassocnus."
Eli Amson et al., (2018). "Evolutionary adaptation to aquatic lifestyle in extinct sloths can lead to systemic alteration of bone structure."
Eli Amson et al., (2015). "Osteology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Axial Postcranium of the Marine Sloth Thalassocnus (Mammalia, Tardigrada) with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Jonathan N. Pauli et al., (2014). "A syndrome of mutualism reinforces the lifestyle of a sloth."
[사진 및 영상]
셔터스톡 외
[음악]
(1) Raise Your Glass to Another year by Ziggy
(2) Dark Acoustic Western Groove by envato
(3) Reflection by Swirling Ship
(4) Howling at the Moon by D Fine Us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