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나라 임박...48년 뒤 노인인구가 생산인구 추월 / YTN
Автор: YTN
Загружено: 13 дек.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1 298 просмотров
더 나은 뉴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일환으로 영상 미리보기 이미지(썸네일) 개선을 위한 설문을 진행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썸네일 설문 참여하기
https://feedback.ytn.co.kr/?v=2019121...
빨라지는 고령화…노인 인구 비중 증가 지속
생산연령 인구 1명이 노인 1명 부양…부담 커져
소득상위 20% 기대수명 85살…하위 20%보다 6살↑
국민 14% "가족과 접촉 없다"…사회적 고립 상태
[앵커]
지금 고등학생이 노인이 되는 48년 뒤에는 노인 인구가 생산연령 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현재도 일어나고 있는 일이지만 고령층이 더 나이 많은 부모 계층을 부양하는 추세가 훨씬 더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김평정 기자입니다.
[기자]
저출산 고령화가 이미 익숙한 시대가 됐지만 그 속도를 현실에서 체감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보통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따져봅니다.
65살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고 비중을 추산하면 내년에는 15.7%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5년이 더 지나 2025년이 되면 초고령 사회의 기준인 노인 비중 20%를 돌파합니다.
지금부터 48년 뒤인 2067년에는 거의 절반인 46.5%까지 이를 전망입니다.
이때 15∼64살 생산연령 인구의 비중은 45.4%로 줄어 노인 인구가 생산연령 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렇게 되면 생산연령 인구 한 명이 노인 한 명의 부양을 도맡는 셈이 돼 전 사회적인 부담이 급증하게 됩니다.
지금도 65살 이상 노인의 69.7%가 자신보다 더 노인인 부모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노인이 노인을 돌본다고 해서 '노(老)·노(老) 케어'라고 하는데 이런 경향이 갈수록 심해지는 겁니다.
경제력 차이에 따라 노후 생활의 질도 영향을 받아 소득 상위 20%의 기대 수명은 85살 가량으로 하위 20%의 79살보다 6년 정도 더 오래 살았습니다.
이와 함께, 국민의 14%는 가족과 접촉이 없는 '사회적 고립' 상태로 조사됐고, 가족 이외 사람과 접촉이 없는 경우도 3%였습니다.
YTN 김평정[[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1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