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구경 - 장사익 2012
Автор: hey bugsoo
Загружено: 20 мар. 2012 г.
Просмотров: 3 027 287 просмотров
꽃 구 경
어머니 꽃구경 가요
제 등에 업히어 꽃구경 가요
세상이 온통 꽃핀 봄날
어머니는 좋아라고 아들 등에 업혔네
마을을 지나고 산 길을 지나고
산자락에 휘감겨 숲길이 짙어지자
아이구머니나
어머니는 그만 말을 잃더니
꽃구경 봄구경 눈 감아버리더니
한 웅큼씩 한 웅큼씩 솔잎을 따서
가는 길 뒤에다 뿌리며 가네
어머니 지금 뭐하신대유
아 솔잎은 뿌려서 뭐하신대유
아들아 아들아 내 아들아
너 혼자 내려갈 일 걱정이구나
길 잃고 헤맬까 걱정이구나
시인의 가슴 저린 압축과 생략미가, 타고난 소리꾼의 목청에 실려 삶의 眞景을 펼쳐 냅니다.
김형영 시인의 '다른 하늘이 열릴 때'란 詩集에 실린 '따뜻한 봄날'이라는 詩에 소리꾼 장사익이 '꽃구경'이란 제목으로 자기의 삶과 목소리를 원 없이 얹어놓은 노래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전파된 '고려장 高麗葬'이라는 날조된 설화 상식에 기대지 않아도 시를 읽는 순간 그리고 그 언어들이 장사익의 목소리에 실리는 순간, 그런 실체적 사실들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마음 깊은 곳에 삶의 상흔들이 흥건하게 고이는 느낌입니다.
애절한 해금의 전주에 뒤이어 무반주로 진행되는 장사익의 애절한 목소리, 그리고 '아들아 아들아 내 아들아'라는 어머니의 육성을 예고하는 북소리는 가슴 저 밑바닥을 쥐어짜듯 뒤흔듭니다.
'고려장'이라는 설화는 한민족의 역사에서는 전혀 근거가 없으며 (일부 사전에서 고구려의 풍습이라고 설명된 것도 사실이 아님) 일제강점기에 고려자기를 도굴하기 위한 일본인 도굴꾼들이, 사자의 무덤을 훼손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우리나라 인부들을 독려하기 위하여 고대 일본의 풍습을 차용하여 전파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198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일본 영화 '楢山節考' (Narayama bushiko, 1982←1958)는 늙은 어머니를 산에 버리는 내용을 다루고 있지요. - 벅수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