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문제행동은 없습니다! 해석불가행동(mistranslation)이라 표현하세요!
Автор: 닥터토마토
Загружено: 21 апр.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1 275 просмотров
자폐 아이들에게 문제행동은 없습니다! 해석불가행동(mistranslation)이라 표현하세요!
──
#자폐
#자폐증
#자폐스펙트럼장애
#아스퍼거증후군
#autism
#자폐증 진단
──
📕 Subscribe to YouTube : / @kdr.tomato
📙 home en : https://dr-tomato.com/
📒 home kr : http://www.i-tomato.co.kr/dsy/
📗 blog : https://blog.naver.com/begoodskin
📘 cafe : http://cafe.naver.com/fullhgi
📩 e-mail : [email protected]
🌐 google map : https://g.page/i-tomato?we
👨🏫 skyfe : itomato
🔹 / kdr.tomato | / kimsautism
──
자폐 아동의 이상행동을 보고 '문제행동' 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이 '문제행동' 이라는 개념은?
자신의 연령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한다는 의미인데요.
'문제행동'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순간,
"넌 비정상적인 행동을 하는 아이야." 라는
낙인효과를 저절로 만들어내는 용어입니다.
'문제행동' 이라는 단어를 쓰는 순간,
치료사나 부모는 아이를 교정의 대상으로 삼죠.
모든 행동에 'O X, 맞아 틀려' 라면서
아동의 행동을 분류하게 됩니다.
그리고 부모나 치료사들은 전투 의지를 보이죠.
"넌 정말 문제가 많은 행동을 하는 아이니까,
너의 행동 방식을 고쳐서 정상적인 행동을 만들어내고야 말거야."
그리고 문제행동을 없애버리고 말겠다는 의지를 담아서
'소거' 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맙소사, 소거라니요.
무슨 아이의 행동에 벌레같이 느껴지는 것이라도 있는 겁니까?
소거를 해야 된다니요.
문제행동이나, 소거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아동학대적인 태도와 시각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런 용어를 사용하는 부모나 치료사를 보면 저도 모르게 화가 나요.
아동들의 일탈적인 행동은 항상 어떠한 메세지를 갖고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달라고 하는 것이라던지
특정 상태를 거부한다던지,
아니면 사람들의 애정을 바라면서
관심을 끌기 위한 이상행동을 선택하는거죠.
자폐 아동들의 행동도 일반아동의 이상행동과 마찬가지입니다.
아동 심리에서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반 아동과의 차이가 있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방식,
즉, 해석하기 어려운 방식의 행동방식을 택한다는 겁니다.
자폐 아동들은 언어표현이 미숙하기 때문에
신체적 행동을 써야 되죠.
또 신체언어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또한 미숙하기 때문에
이상스러운 동작과 행동을 하게 되는 겁니다.
우리는 자폐 아동들의 소리에 담긴 진심을
이해하고 해석하지 못하는 겁니다.
그리고 자폐 아동들의 신체언어에 담긴 진심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석하고 있지 못하는 거예요.
그렇게 보면, 자폐 아동들의 행동방식이 문제인 것이 아니라
그 진심을 해석하지 못하는 부모와 치료사들이 문제인 것입니다.
이해가 가능한 방식으로 땡깡을 부리는 아동과
이해가 불가능한 방식으로 땡깡을 부리는
아이들의 차이일 뿐입니다.
우리는 자폐 아동들의 행동에 담겨있는 메시지를
해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럴 때만이 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문제행동' 이라는 용어,
'소거' 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 절대적으로 반대합니다.
구지 특정 용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부모나 치료사가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이라는 의미에서
해석 불가능한 행동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습니다.
그래야만 이해하려는 노력이 뒤따르게 될 것입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