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опулярное

Музыка Кино и Анимация Автомобили Животные Спорт Путешествия Игры Юмор

Интересные видео

2025 Сериалы Трейлеры Новости Как сделать Видеоуроки Diy своими руками

Топ запросов

смотреть а4 schoolboy runaway турецкий сериал смотреть мультфильмы эдисон
dTub
Скачать

인왕산 정상 무렵 집 한 채! 61년째 오지 산골에 사는 할머니의 숨은 사연은? 천천히 걷고 싶다 - 서울 부암동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314 방송]

Автор: KBS 교양

Загружено: 2024-03-07

Просмотров: 924283

Описание:

김영철의 동네 한바퀴 [천천히 걷고 싶다 - 서울 부암동]

▶ 한양의 사소문 “창의문”에서 시작하는 부암동 한 바퀴
서울 성곽을 쌓을 때 세운 사소문(四小門)인 혜화문, 광희문, 소의문과 함께 이름난 창의문. 창의문은 사소문 중 유일하게 옛 모습이 보존된 곳이기에, 과거 사소문을 고스란히 느껴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과거 북한, 양주 방면으로 통하는 교통로였으며 현재는 부암동을 지키고 있는 문인 창의문. 배우 김영철은 창의문을 통해 오래된 서울의 역사를 돌아보고, 창의문 옆으로 둘러싸인 성곽 밖 동네 풍경을 바라보며 부암동 한 바퀴를 시작한다.

▶ “부.암.동” 동네 이름에 숨겨진 옛이야기
본격적으로 부암동으로 발길을 옮기는 배우 김영철. 가장 먼저 그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작은 비석 하나다. 부암동의 유래가 적힌 '부침 바위' 설명문. 아들을 낳고자 하거나 아들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돌을 붙여 소원을 빌던 바위가 있던 곳이라는 내용이다. 예부터 산자락 아래 터 잡고 살아 수많은 사람이 바위 앞에서 염원을 쌓았던 동네. 부치다 부, 바위 암의 음을 따 부암동이 된 숨은 이야기를 알고 더욱 궁금해지는 부암동으로 들어가 본다.

▶ 옛 추억을 소환하게 하는 “서울 속 시골, 부암동” 풍경
산 능선에 지어져 유난히 가파르고 좁다란 골목이 많은 부암동. 그 때문일까. 집마다 오래된 높은 축대가 눈에 띈다. 축대를 보고 돌아서는 길, 이른 아침 일을 마무리하며 발길을 재촉하는 신문 배달부를 만난다.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 신문 배달을 했던 배우 김영철의 옛 추억을 소환하게 하는 동네 분위기를 느끼며 더 높은 부암동을 향해 발길을 옮긴다.

▶ 서울 속 시골 마을 “부암동 토박이들이 사는 안골마을”
마치 등산을 하는 기분이 들게 하는 언덕 동네, 부암동. 동네를 구경하며 정신없이 위로 걷다 보니 인왕산 자락에 위치한 마지막 동네에 다다르게 된다. 부암동에서도 가장 경치 좋기로 유명한 안골마을이다. 열 채 남짓 오래된 집들과 토박이 주민들이 사는 동네. 이곳에서 시골에서 자주 먹는 겨울철 추억의 간식, 고구마 배때기를 만드는 할머니를 만나게 된다. 어릴 적 부암동으로 올라와 어느덧 60년이 다 되도록 한 곳에 살고 있다는 할머니. 할머니는 산꼭대기에 살아 젊은 시절 고됐던 기억도 있지만, 이웃 간에 흠뻑 정이 들고, 지금까지 그 인심을 이어와 동네를 떠날 수 없단다. 눈이 오면 너나없이 먼저 이웃집 문턱부터 쓸어주는 진한 인정이 풍기는 동네, 부암동 토박이들이 사는 안골마을을 만나고 다시 길을 나선다.

▶ 부암동 집사가 떴다! “단 하나뿐인 슈퍼마켓”
골목마다 추억의 풍경과 인정이 넘치는 동네, 부암동. 그 길 끝에서 불도그 한 마리가 지키는 한 가게를 만난다. 궁금한 마음에 가게에 들어가 보니, 8년간 이 가게의 마스코트이자 막둥이로 부암동 주민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애완견이란다. 그런데 이 가게도 예사롭지 않다. 전기상과 슈퍼가 쌍둥이처럼 붙어있는 모습. 남편이 30년간 운영하던 전기상 옆에 아내가 10년 전 슈퍼를 차려 한 지붕 두 가게가 됐단다. 슈퍼가 없어 불편해하던 주민들을 보고, 가게를 차리게 됐다는 아주머니. 그 이유처럼 가게 안의 물건들도 주민 맞춤형이다.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떡, 꽈배기부터 콩나물, 고추, 파까지! 주민들이 원하는 것이라면 직접 장이라도 봐서 뭐든 갖다 놓는단다. 또한, 단골 어르신들을 위해서라면 콩나물 한 봉지, 전구 하나를 들고 산꼭대기까지 배달을 가 전구까지 갈아주는 아주머니. 부암동에 없어서는 안 되는 “일명 부암동 집사, 슈퍼마켓의 유쾌한 아주머니”를 만나고 다시 길을 나선다.

▶ 상 하나에서 같이 밥 먹으며 “식구가 되는 원테이블 식당”
다시 길을 걷다 통유리창 너머로 식탁 하나가 놓여있는 가게 하나를 발견한다. 그 안에서 옹기종기 밥을 먹는 사람들. 안에 들어가 보니, 식탁이 딱 하나뿐인 가게란다.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다 보면 불편할 법도 한데 오히려 화기애애한 모습. 알고 보니, 공간이 좁아 가게 주인장이 궁여지책으로 낸 원테이블 묘안이, 오히려 이제 핵가족과 혼밥족이 많아진 부암동에서 통하게 된 것이란다. 벽을 보거나 스마트폰을 보는 것이 아닌,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지만 함께 밥상을 공유하며 한 가족처럼 이야기를 나누고 밥을 먹는 식당. 주메뉴는 명란으로 만든 주먹밥과 집밥 같은 메뉴들이다. 한 밥상에서 정답게 이야기를 나누며, 새로운 정을 만들어가는 부암동 사람들의 이색적인 모습을 만나본다.

▶ 부암동 핫플레이스 “젓가락 가게”
고즈넉한 분위기와 산세가 훤히 내다보이는 한국적인 풍경 때문일까. 주변의 삼청동, 서촌을 넘어 외국인들의 발길이 늘어나고 있는 부암동. 길을 걷다 창문 너머로 외국인들이 반겨주는 한 가게에 발길이 머물렀다. 안에 들어가니 국적이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다름 아닌 “젓가락”을 만들고 있는 모습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직접 젓가락으로 깎고 디자인해 만들 수도 있고, 다양한 한국의 젓가락을 구경할 수 있는 갤러리 겸 젓가락 가게. 배우 김영철은 외국인들과 함께 너무 당연하게 사용하던 젓가락의 매력을 다시금 알아가며 부암동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나본다.

▶ 부암동 사랑꾼 “영국 남편과 한국 아내가 만드는 스콘 집”
유난히 훤히 안이 들여다보이는 통유리로 된 가게가 많은 부암동. 덕분에 가게 안을 속속들이 볼 수 있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그 길 끝에서 외국인이 빵을 진열하는 모습에 눈길이 멈추는 배우 김영철. 들어가 보니 한국인 아내와 영국인 남편이 차린 빵집이란다. 장거리 연애 시절 셰프였던 남편이 아내를 위해, 바다 건너 항공 택배로 보냈던 빵을 추억하며 가게를 열게 됐단다. 주메뉴는 영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빵, 스콘. 겉모습은 투박하지만, 맛만은 진국인 스콘 맛에 반해 손님들이 하나, 둘 늘다 보니 부암동의 명물이 됐다는 빵집 부부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 미술관 너머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 시대로 온 듯한 숨은 절경 “석파정”
포근한 날씨처럼 어느덧 성큼 다가온 봄. 얼음이 얼었던 시내엔 물이 흐르고 철새들이 기지개를 켜는 풍경이 마음을 참 푸근하게 해준다. 그렇게 산 아래 봄이 오는 풍경을 바라보던 중, 커다란 한옥 대문을 발견하게 되는 배우 김영철. 굳게 닫힌 대문 앞을 보니 출입을 위해선 미술관을 거쳐 가야만 가능하단다. 궁금함을 가득 안고 미술관 너머 공간으로 들어가 보니 옛 정취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한옥과 비밀의 정원이 펼쳐진다.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돌아간 듯한 보물 같은 풍경이 담긴 곳. 오래된 소나무와 비경이 있는 이곳은 조선 시대 흥선대원군의 별채이자, 고종의 행차가 있었던 공간, 석파정이란다. 이곳에서 한숨 고르며 부암동의 풍경을 내다보고, 다시 동네 기행을 떠난다.

▶ 함경도에서 피난 온 할머니가 만드는 “엄마 손맛 전집”
다시 골목길을 걷던 중 재미난 간판 하나가 눈에 띈다. "두 번째로 맛있는 집". 첫 번째도 아니고 왜 두 번째인 걸까? 거기다 외관은 일반 가정집 같아 보이는데 전을 파는 곳이란다. 그냥 대문을 열고 들어오라는 안내 글을 따라 가보니 푸근한 인상의 할머니가 전을 부치고 있다. 알고 보니 어린 시절 함경도에서 피난 와 어머니 어깨너머 배운 솜씨로 전 집을 하고 계신단다. 모든 재료는 내 식구들 먹는 것처럼 정성스럽고 좋은 것만 고집한다는 할머니. 그래서 가게 이름도 엄마가 해준 밥상 다음으로 맛있는 '두 번째로 맛있는 집'이란다. 이제 허리가 굽고 힘이 예전만 못하지만 찾아주는 손님들이 있어 집에서라도 장사를 이어간다는 할머니의 사연을 만나본다.

▶ 서울 한복판에 이런 곳이?! “종로의 두메산골 가족 이야기”
다시 나선 길목에서 우연히 뾰족구두를 신고 언덕을 오르는 아가씨를 만나게 된다. 양손 가득 장을 본 아가씨의 짐을 들어주며 잠시 그녀와 동행하게 되는 배우 김영철. 그런데 어쩐지 상황이 묘하게 흘러간다. 아가씨를 도와주려다 엉겁결에 등산하게 된 상황! 좁다란 산길을 시작으로 흙바닥과 돌계단이 보이더니 한참을 올라간다. 알고 보니 멧돼지가 출몰할 정도로 부암동 산골짜기에 살고 있단다. 인왕산 정상 무렵까지 걷다 보니 정말 집이 한 채 나타난다. 이곳을 61년째 지키고 계신 할머니와 살고 있다는 아가씨. 대한민국의 도심 중의 도심, 종로구에 속해있지만 오지 산골에 사는 아가씨와 할머니에게는 어떤 숨은 사연이 있을까? 산에서 철마다 나물이며, 곡식을 캐 먹고, 천연 저장고를 사용하며 과거로 돌아간 듯 생활을 하는 할머니와 아가씨의 산골 라이프를 만나본다.

#김영철의동네한바퀴 #서울 #부암동

✔ 따뜻한 감동, 알찬 정보 KBS 교양 공식 채널 📺
✔ KBS교양 구독하기 ➡️    / @kbslife  

영상 방송 시점에 따라 현 상황과 내용이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비방 및 악성 댓글은 출연자 보호를 위해 운영자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인왕산 정상 무렵 집 한 채! 61년째 오지 산골에 사는 할머니의 숨은 사연은? 천천히 걷고 싶다 - 서울 부암동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314 방송]

Поделиться в: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

Скачать аудио mp3

Похожие видео

[동네한바퀴] 최신 트렌드와 오래된 추억이 공존하는 곳, 서울 여의도동·대방동 KBS 220122

[동네한바퀴] 최신 트렌드와 오래된 추억이 공존하는 곳, 서울 여의도동·대방동 KBS 220122

1년 365일을 트럭에서 보내는 부부. 한때 100평 땅 주인이던 그들이 첩첩산중 산골로 향하는 이유 [다큐공감] | KBS 150919

1년 365일을 트럭에서 보내는 부부. 한때 100평 땅 주인이던 그들이 첩첩산중 산골로 향하는 이유 [다큐공감] | KBS 150919

한강의 서쪽 끝, 빌딩 숲과 식물원이 들어선 세련된 도시의 풍경을 자랑한다! 서울 마곡동, 개화동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190928 방송]

한강의 서쪽 끝, 빌딩 숲과 식물원이 들어선 세련된 도시의 풍경을 자랑한다! 서울 마곡동, 개화동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190928 방송]

서울 한복판에서 서울을 잊게 만드는 동네, 사대문안에 살고 싶어서 100살 한옥을 샀다ㅣ스페인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가 꿈꾼 집🏡 서촌 한옥 두 채를 한 채로 만든 방법ㅣ#건축탐구집

서울 한복판에서 서울을 잊게 만드는 동네, 사대문안에 살고 싶어서 100살 한옥을 샀다ㅣ스페인인 남편과 한국인 아내가 꿈꾼 집🏡 서촌 한옥 두 채를 한 채로 만든 방법ㅣ#건축탐구집

1년에 참나무장작만 30톤! 더덕구이 2톤 쓰는 바베큐? 산더미 장작 혼자 다 패는 나무꾼 장작구이집┃Oak charcoal barbecue / Korean street food

1년에 참나무장작만 30톤! 더덕구이 2톤 쓰는 바베큐? 산더미 장작 혼자 다 패는 나무꾼 장작구이집┃Oak charcoal barbecue / Korean street food

40년 전, 바람난 여자라 내몰렸던 그녀… 이제야 밝혀진 진짜 이야기|다문화 고부열전|알고e즘

40년 전, 바람난 여자라 내몰렸던 그녀… 이제야 밝혀진 진짜 이야기|다문화 고부열전|알고e즘

[사노라면]

[사노라면] "죽으면 나도 엄마랑 같이 죽을 거야" 할머니가 엄마인 줄 아는 손자와 그런 손자를 위해 비밀을 지키는 할머니

봄이면 쑥향이 가득 번지는 애도를 지나~ 아름다운 다도해와 국내 유일의 나로우주센터를 품고 있는 땅 전남 고흥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411 방송]

봄이면 쑥향이 가득 번지는 애도를 지나~ 아름다운 다도해와 국내 유일의 나로우주센터를 품고 있는 땅 전남 고흥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411 방송]

용마산, 망우산, 봉화산으로 둘러싸여 싱그러운 녹지가 가득한 서울 중랑구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190622 방송]

용마산, 망우산, 봉화산으로 둘러싸여 싱그러운 녹지가 가득한 서울 중랑구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190622 방송]

인왕산 끝자락과 개미마을, 홍제역을 이어주는 주민들의 발 '홍제동 마을버스 72시간'|[여행다큐] KBS 20201129

인왕산 끝자락과 개미마을, 홍제역을 이어주는 주민들의 발 '홍제동 마을버스 72시간'|[여행다큐] KBS 20201129

밤잠도 잊은 채 바쁜 곳! 행복 바이러스가 가득한 곳! 꽃에 웃고 꽃에 울었던 양재동 화훼공판장 72시간 | 다큐 3일 | KBS 20220116 방송

밤잠도 잊은 채 바쁜 곳! 행복 바이러스가 가득한 곳! 꽃에 웃고 꽃에 울었던 양재동 화훼공판장 72시간 | 다큐 3일 | KBS 20220116 방송

봄의 전령사들이 온다! 냉이, 달래, 씀바귀, 쑥 등 입맛을 살리고 기력을 보충해주는 봄나물 밥상! [한국인의밥상 KBS 20120308 방송]

봄의 전령사들이 온다! 냉이, 달래, 씀바귀, 쑥 등 입맛을 살리고 기력을 보충해주는 봄나물 밥상! [한국인의밥상 KBS 20120308 방송]

【製造風景】飴の作り方 錦玉(4分玉)  / How to make candy / Japan / Kyoto / making / 2025

【製造風景】飴の作り方 錦玉(4分玉) / How to make candy / Japan / Kyoto / making / 2025

와..여기가 서울이라고? 세상의 속도와는 무관하게 이어져 온 서울 마지막 달동네ㅣ대중교통 당일치기 여행ㅣ지하철 여행ㅣ도심산책ㅣ서울산책

와..여기가 서울이라고? 세상의 속도와는 무관하게 이어져 온 서울 마지막 달동네ㅣ대중교통 당일치기 여행ㅣ지하철 여행ㅣ도심산책ㅣ서울산책

내 말 잘 들으면 내가 잘해줄거 아니여! 근데 맨날 밖으로 나가기나 하고.. [남도지오그래피] | KBS 150423

내 말 잘 들으면 내가 잘해줄거 아니여! 근데 맨날 밖으로 나가기나 하고.. [남도지오그래피] | KBS 150423

"아파트 가격이 더 오를거야" 남들이 말릴 때 오히려 팔아야 된다고 생각했어요ㅣ'역세권 평지 아파트' 팔고 부암동 산꼭대기에 붉은 벽돌집을 짓고 사는 부부ㅣ#건축탐구집

총 513.4km의 길이 7번 국도 끝! 제각기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 강원도 고성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418 방송]

총 513.4km의 길이 7번 국도 끝! 제각기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이야기~ 강원도 고성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 KBS 20200418 방송]

200년 된 외딴 집에서 나 홀로..🛖 지리산 할머니에게 새 식구가 생겼다! | 채옥 씨의 지리산 연가 | KBS 인간극장 2017 방송

200년 된 외딴 집에서 나 홀로..🛖 지리산 할머니에게 새 식구가 생겼다! | 채옥 씨의 지리산 연가 | KBS 인간극장 2017 방송

[다큐3일★풀버전] 젊은이들이 찾는 핫플레이스, 망원 전통시장! | “망원시장 난리났네, 서울 망원시장 72시간” (KBS 160403 방송)

[다큐3일★풀버전] 젊은이들이 찾는 핫플레이스, 망원 전통시장! | “망원시장 난리났네, 서울 망원시장 72시간” (KBS 160403 방송)

70년째 영하 30도, 물이 나오지 않아 고립된 사람들. 앞도 안보이는 혹한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안도전' 사람들 [다큐공감]ㅣKBS 2015.02.07

70년째 영하 30도, 물이 나오지 않아 고립된 사람들. 앞도 안보이는 혹한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안도전' 사람들 [다큐공감]ㅣKBS 2015.02.07

© 2025 dtub. Все права защищены.



  • Контакты
  • О нас
  • Политик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Контакты для правообладателей: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