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동구릉 : 서울의 숨겨진 힐링장소 : 세계유산ㆍ조선왕릉 (Donggureung, Tombs of the Joseon Dynasty)
Автор: 여행과 생각
Загружено: 26 мая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2 883 просмотра
"동구릉"
Filming date : 2024. 5. 16.
Shooting equipment : A7C2, DJI RS 3 Pro
Place : 경기 구리시 인창동 (동구릉)
producer : Director Hong
[email protected]
010-2140-1178
#동구릉 #구리시 #조선왕릉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해 있는 조선시대 왕릉군(群).
조선시대를 통하여 총 9개의 능이 모여 족분을 이루는 곳으로,
서울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9개의 능(陵)이라 하여 훗날 동구릉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본래 조선왕조 대에는 무덤 한 개가 늘어날 때마다 이름이 바뀌며 동오릉(東五陵), 동칠릉(東七陵)으로 불려오다가
효명세자가 안치된 이후 조선왕조가 문을 닫으며 동구릉으로 이름이 굳었다.
조선왕조의 창업군주인 태조 이성계의 능인 건원릉(健元陵)부터 시작하여
제5대 왕 문종과 그의 비 현덕왕후의 능인 현릉(顯陵),
제14대 왕 선조와 그의 정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가 함께 묻힌 목릉(穆陵),
제16대 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인 휘릉(徽陵),
제18대 왕 현종과 그의 비 명성왕후의 능인 숭릉(崇陵),
제20대 왕 경종의 정비였던 단의왕후의 능인 혜릉(惠陵),
제21대 왕 영조와 그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인 원릉(元陵),
제23대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문조익황제로 추존)와 그의 비 신정왕후의 능인 수릉(綏陵),
제24대 헌종과 그의 정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인 경릉(景陵)까지
총 9개의 능, 15개의 봉분이 구릉산 동쪽 기슭에 빼곡하게 들어차 있다.
조선왕릉은 전체적으로 왕의 무덤이라고 하기에 검소하다.
이는 세계적으로 공통되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고대에는 왕의 무덤 크기와 왕의 권위는 비례한다고 여겨서 무덤의 크기가 컸지만
이런 경향은 현대로 올수록 사라진다.
한반도에서는 6세기를 전후하여 이전처럼 큰 무덤은 등장하지 않는다.
조선의 정원 양식에서도 그렇듯 조선의 건축 양식은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했으며
고려 시대부터는 풍수적인 면을 고려해서 만들어진다.
조선의 임금들도 자신들의 거처로서 궁궐은 위압적인 느낌을 주는 경복궁보다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창덕궁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구릉에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왕릉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무덤을 만들 때 각 무덤에 따른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재실을 지었으나
현재 각 무덤에 재실은 없고, 9개 무덤을 하나의 경계지역으로 하여 구릉 남쪽에 재실이 있다.
또, 단릉(單陵), 쌍릉(雙陵),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합장릉(合葬陵), 삼연릉(三連陵) 등
모든 형식의 왕릉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삼연릉은 조선왕릉 중에서 유일하며, 오직 동구릉에서만 볼 수 있는 신기한 형식이기도 하다.
현재 사적 제1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오릉과 함께
2009년 2월 27일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 유산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으로 공식 등재되었다.
건원릉(健元陵) /단릉
동구릉의 9개 능묘 중 조선 초대 임금인 태조 이성계가 안장되어 있는 왕릉.
영의정 하륜 등이 태조 사후 여러 곳을 물색하다가 1408년 6월 28일 지금의 위치로 결정하였고,
7월 5일 충청도·황해도·강원도에서 약 6,000명을 징발하여 7월 말부터 공사를 시작하고 석실을 만들었다.
9월 7일 태종이 빈전(장례 전까지 왕과 왕비의 관을 두던 전각)에 나가 견전례를 행하고 공식적으로 발인하였다.
다른 왕릉이 꽤 단정하게 벌초가 되어 있는데에 반해 건원릉은 억새풀이 무성한 투박한 왕릉이다.
덕분에 다른 왕릉과 다른 특수성으로 벌초도 1년에 한 번(한식)만 한다.
이런 투박한 느낌 때문에, 조선의 왕으로서 살았던 인생보다는 고려의 장수로서 살았던 인생이 더 길었던 이성계의 이미지와 잘 부합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왕의 이미지와 부합하는 왕릉이라 볼 수 있다.
동구릉에 가면, 이 능침 바로 앞까지 올라갈 수는 없고 정자각 쪽에서만 관람할 수 있지만,
건원릉에 자란 억새를 벌초하는 한식 때 문화재청에서 특별관람을 추진해서 한시적으로 능침 바로 앞까지 올라갈 수 있다.
건원릉이 억새풀이 무성하게 된 사연은 이성계가 죽으면서 고향 함흥 땅에 묻어 달라고 유언했지만
이방원은 개국 시조인 부왕을 멀고 먼 함흥에 안장한다면 나라의 위신과 제사 지낼 때 불편한 것은 물론이고,
가까이 있는 곳에 모셔야만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으니 도성 근처에 모시려고 했다.
그래서 유언에 부합하고자 함흥의 흙과 억새를 가져다가 건원릉을 단장하는 기지를 발휘했다고 한다.
이성계는 둘째 부인인 신덕왕후가 있는 정릉에 같이 묻히길 원했으나
신덕왕후를 굉장히 싫어하던 이방원이 유언을 무시하고 새로 묏자리를 알아봐 묘를 썼고,
죄책감에 평소 고향을 그리워하던 이성계를 위해 그의 고향인 함흥에서 흙과 억새를 가져다 심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함흥에서 억새를 가져올 때, 그냥 파서 가져오면 시간이 많이 걸려서 억새가 다 말라죽으므로
이를 고민하던 태종이 짜낸 지혜가 사람들을 일렬로 줄줄이 세워서 함흥에서 한양까지
억새를 릴레이 형식으로 운반해와서 심었다는 설화도 있다.
임진왜란 때는 왜군이 건원릉에 불을 질렀는데
건원릉의 정자각에서 엄청난 바람이 나와서 불을 다 꺼버렸다고 한다.
왜군이 몇번을 불 질러도 마찬가지여서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건원릉과 관련한 여러 야사가 많다.
현릉(顯陵) /동원이강릉
조선 왕조 5대 임금인 문종과 현덕왕후가 안장되어 있는 능이다.
현덕왕후는 단종이 폐위되고 역시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에 복위되었는데 이때 문종의 옆으로 이장되었다.
이때 이장되면서 문종과 현덕왕후의 무덤을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다른 언덕에 각각 자리잡게 하는 동원이강릉의 형태로 조성하였다.
원릉(元陵) /쌍릉
조선 왕조 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이다.
이 곳은 조선 왕조 역사상 유일하게 파묘 자리를 다시 쓴 왕릉이다.
본래는 효종의 영릉이 이 곳에 있었는데 왕릉 석물에 금이 가고 파손되는 사태가 계속 발생하자 현종 14년인 1673년에 지금의 자리(경기도 여주시 능서면)로 천장했는데,
손자인 정조가 이곳에 자신의 할아버지(영조)를 안장한 것이다.
일반 백성들조차도 자신의 조상들은 파묘(破墓) 자리에 모시는 일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정조의 할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다만 정조실록 즉위년 4월 11일자의 기사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있는데 정존겸이 원릉의 자리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정조도 대략 마음에 헤아려지는 바가 있었다며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원릉의 자리에 대해 대신과 비변사 당상들에게도 두루 물어 이의가 없자 능을 결정하였다는 언급이 있는 등
정조의 복수라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경릉(景陵) /삼연릉
경릉은 조선시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삼연릉이다.
사람들은 흔히 가운데가 왕의 봉분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정자각에서 바라볼 때 제일 왼쪽부터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의 능이다.
이는 유교식 장례 예법에서 서쪽을 높게 치기 때문이다.
무덤이 남향하므로, 제일 왼쪽이 제일 서쪽이 되어 가장 높은 자리가 된다.
비슷하게 종묘에서도 왕의 위패는 위계 순으로 서쪽부터 동쪽으로 배열한다.
수릉(綏陵) /합장릉
조선 왕조 23대 순조의 세자 추존 왕 문조익황제와 비 신정익황후 조씨의 능이다.
합장릉의 형식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동구릉 중 가장 마지막으로 조성된 능이기도 하다.
경복궁의 약 4.5배 면적에 달하는 동구릉은 문화와 생태가 공존하는 역사공간이다. 동구릉 숲길을 호젓이 걷다보면 어느새 조선의 한복판 있는 느낌이 들 정도
동구릉은 넓은 면적에 잘 보존된 왕릉 숲을 비롯하여 연지(蓮池) 와 깨끗한 물이 흐르는 나지막한 계곡 등 조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맹금류부터 곤충류까지 먹이사슬 구조도 자연스럽게 잘 이루어져 있어서 희귀 천연기념물과 멸종 위기종을 비롯 다양한 텃새와 철새, 나그네새들의 보금자리를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4K] 동구릉 : 서울의 숨겨진 힐링장소 : 세계유산ㆍ조선왕릉 (Donggureung, Tombs of the Joseon Dynasty)](https://ricktube.ru/thumbnail/FoYkmilp9GA/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