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 아파트 공시가격은 어떻게 정할까?
Автор: 국토교통부
Загружено: 22 мая 2020 г.
Просмотров: 7 592 просмотра
우리나라 아파트 거주 비율이 어떻게 될까요?
약 49.2%로 두 명 중 한명은 아파트에 거주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같은 동네 같은 아파트에 살아도 각 아파트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바로 그 이유는 공시가격 때문인데요~!
‘공시가격이란?’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부동산 가격.
[ 1년간의 거래자료 + 현장조사 = 공시가격 ]
거래자료 : 실거래가 / 매물정보 / 주택매매동향 / 민간시세정보 / 감정평가선례
이 공시가격은 조세 · 복지 · 개발 부담금 등 60여개 행정 목적에 활용이 되는 만큼 더욱 정확하고 공정하게 매겨져야 하는 데요~
오늘 국토부&심피디와 함께 공시가격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아파트 가격(공시가격)은 어떤 기준으로 정해질까요?
A. 1년 동안 수집한 거래 자료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현장조사를 통해 주택의 특성을 조사를 하여 정해집니다.
Q. 현장에서는 어떤 조사가 이뤄질까요?
A. 입지조건, 교통시설 등 집 외부 조사와 집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소음측정, 전망조사 등이 있어요. 이러한 부분은 현장에서 확인하지 않으면 알기 힘들기 때문에 현장조사가 중요하답니다!
Q. 그런데, 같은 아파트라도 공시가격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A. 접근성과 조망권, 소음 유무 등을 고려해서 반영하기 때문에 동마다 가격이 달라지고, 층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특히!! 입주민이 가장 선호하는 층은 공시가격이 가장 높다고 하네요.
Q. 공시가격 1년 동안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요?
A.
▽ 2019 7월 국토교통부 추진 계획수립
▽ 8월 한국감정원 DB 구축 및 조사시작
▽ 심사위원이 전 조사자들을 직접 만나 가격 평가 및 확인
▽ 2020 2월 국토교통부 중간심사
▽ 3월 소유자 가격 열람 및 의견청취 (국민 의견 반영)
▽ 4월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
▽ 4월 29일 공동주택가격 결정 · 공시
▽ 4월 29일 ~ 5월 29일 공동주택가격 열람 및 이의신청
▽ 6월 26일 공동주택가격 조정 · 재공시
※ 4월 29일~ 5월 29일 간 아파트 공시가격 이의 신청 하는 방법
1.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에서 공통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합니다.
2.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주소를 검색하여 열람합니다.
3. 이의가 있다면 하단에 이의신청을 신청합니다.
▶ 참고 : 관할 시 군 구 민원실, 한국 감정원 지사에 팩스, 우편, 직접제출 또는 입주자대표회의 이의 신청서를 받아 단체로 제출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우리 집 아파트 공시가격! 어떻게 정하는 지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오직 국토교통부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하고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molit.go.kr/
관련 보도자료 바로가기▼
http://www.molit.go.kr/USR/NEWS/m_71/...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