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시대…보안이 생명이다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22 мая 2015 г.
Просмотров: 2 753 просмотра
[앵커]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 하면서 보안 위협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정부와 기업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전문가와 함께 국내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의 현황과 대책에 대해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김승주 교수 전화로 연결돼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확산되면서 생활이 편리해진 만큼 해킹 위협도 높아진 게 사실인데요.
사물인터넷 기기를 이용한 해킹 수법은 어떤 특징이 있습니까?
[인터뷰]
일단 사물 인터넷이라는 것이 기존의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물건이 인터넷과 연결된다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해커들은 일단 인터넷과 연결되기만 하면 해킹하지 못할 시스템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아까 잠깐 나왔지만, 자동차나 TV, 냉장고, 전자레인지와 같은 모든 것들이 해킹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요. 해킹 수법이 기존의 컴퓨터 해킹에 비해서 크게 달라지는 것이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훨씬 더 심각하다고 볼 수 있고요.
실제로 자동차 해킹 같은 경우에는 2010년에 이론 제기가 되었었고요, 최근 국제 해킹 대회에서는 실제 차량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실험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요.
스마트 TV 같은 경우는 실제 실내 도촬이나 해적 방송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2013년에 국제 해킹 대회에서 시연된 적이 있습니다. 또한 심장병 환자들이 많이 하고 다니는 심박 조율기도 예외가 아니라서요.
2012년에 15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원격으로 심박 조율기를 통해서 전기 충격을 심장에 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시연된 적도 있고요. 최근에는 의료기기나 항공 시스템에 대한 해킹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앵커]
그렇다면 국내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보십니까?
[인터뷰]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것들은 인터넷을 통해서 쉽게 제품을 업데이트 하거나, 아니면 휴대폰 같은 경우, 보통 1, 2년 마다 제품을 바꾸거든요.
그런데 이제 스마트 TV라던가 자동차, 냉장고 등과 같은 경우에는 교체 주기가 매우 깁니다.
그래서 일단 제품이 설치된 이후에 문제가 생기면 이것을 고치기가 쉽지 않거든요.
그리고 이 제품을 사용하든 사용자층도 다양하기 때문에 설계 당시부터 보안을 고려해서 제품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것을 우리가 보...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