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커뮤니케이션 기초개념] 6.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Автор: 정성은설득컴세미나
Загружено: 2022-05-12
Просмотров: 489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설득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자주 등장하는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에 관한 핵심적인 내용들을 소개합니다. 자기효능감과 반응 효능감(Response Efficacy)의 차이. 자기효능감의 역할과 근원(Sources)에 대한 반두라 (Bandura, 1977)의 주장과 모형을 살펴보고, 이와는 다른 주장을 하는 Scheier and Carver (1987)의 행동 모형을 살펴봅니다.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Scheier, M. E., & Carver, C. S. (1987). Dispositional optimism and physical wellbeing: The influence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on health. Journal of Personality, 55, 169-210.
![[설득커뮤니케이션 기초개념] 6. 자기효능감 (Self-Efficacy)](https://ricktube.ru/thumbnail/Jp8Tx6TEYr4/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