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돋보기] 열병식에 감춰진 북한 주민 눈물…아사자 속출 최악의 식량난 [MBN 뉴스7]
Автор: MBN News
Загружено: 15 февр.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208 383 просмотра
【 앵커멘트 】
북한이 지난 8일 건군절 열병식을 했죠.
오늘[평양돋보기]에서는 화려한 열병식을 가능케 했던 북한 주민들의 어려운 삶을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통일부 출입하는 안병수 기자 나왔습니다.
【 질문 1 】
열병식 규모가 상당했는데, 이 돈이 다 어디서 났을까 궁금하거든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쥐어짠 결과물이다, 이렇게 봐야할까요?
【 답변 1 】
실제로 북한의 공장과 기업소, 학교들은 군부대와 자매 관계를 맺고 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소 차원에서 열병식 지원물자를 대면서도, 종업원들에게 2000원씩을 걷어 세면도구를 마련하고, 명절 음식을 준비했습니다.
낼 돈이 없는 사람들은 다음 달 월급에서 공제했습니다.
북한 노동자의 월급 평균이 4000~5000원 수준인데, 절반을 착취한 겁니다.
일반 주민들에게도 물자 강요를 했는데 세대별로 쌀 1kg을 살 수 있는 5000원을 군 지원금으로 걷어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질문 1-1 】
미사일 도발도 같은 맥락이잖아요?
주민들은 먹을 게 없는데, 미사일 발사에 막대한 비용을 쓰지 않았습니까?
【 답변 1-1 】
한국국방연구원이 지난해 12월 주최한 '북한군사포럼'에 따르면 북한이 발사하는 ICBM은 한 발당 최대 3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는 약 380억원이 투입됩니다.
여타 미사일도 적지 않은 비용이 듭니다.
북한은 지난해에만 70여 발의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는데,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최대 5억3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6800억원입니다.
이 돈이면 2500만 명 북한 전체 주민의 두 달 치 식량값에 해당합니다.
열병식에서는 고체 연료 기반 ICBM의 운용부대가 창설된 정황도 확인됐는데, 여기에도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겠죠.
【 답변 2 】
심지어 개성에서도 아사자가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잖아요? 이렇게 상황이 심각한데요.
【 답변 2 】
개성은 대표적인 부촌으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하루 수십 명씩 굶어 죽는 사람이 나옵니다.
극심한 생활고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다른 지역은 상황이 더 심각하겠죠.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교역 중단이나 이상기온으로 식량난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남성욱 / 고려대 행정전문대학원 교수
"지난해 이상기온과 북중 교역 중단으로 인해서 전년 대비 25% 이상의 식량 생산이 감소했습니다. 아마 6월, 7월 감자 옥수수가 날 때까지는 북한의 식량 사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3 】
이렇게 안타까운 상황인데, 대외적으로는 4대 세습을 노골화하고 있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이죠, 김주애 우표도 곧 발행될 정도인데 부정적인 여론도 있다고요?
【 답변 3 】
지난해 11월 김주애가 처음 공개될 때 입었던 패딩이 여성들 사이 유행할 정도였는데, 지독한 경제난이 반영돼 반감이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특히 열병식을 기점으로 이런 기류가 뚜렷합니다.
자유아시아통신에 따르면 북한 소식통은 "머리가 하얗게 센 간부들이 김주애에 쩔쩔매는 모습 등이 좋은 인식을 주지 못했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다만 김주애한테 실제 세습을 할지는 불확실합니다.
▶ 인터뷰 : 권영세 / 통일부 장관
"북한 체제가 우리보다 훨씬 가부장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여성에게 바로 세습을 하는 부분이 맞는 얘기냐 이런 의문도 많이 있습니다."
【 질문 3-0 】
김주애 외에도 어린 아이를 우표에 넣은 적이 있었나?
【 질문 3-0 】
북한이 어린이날로 기리는 국제아동절 기념 우표나, 교육 정책 홍보 우표 등에 어린 아이가 등장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 질문 3-1 】
북한 내부 반발은 있지만, 내일(16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광명성절이라 백두혈통 강조 분위기는 이어갈 수밖에 없겠는데요?
【 답변 3-1 】
노동신문은 "김정일의 위업이 김정은의 령도 밑에 굳건히 계승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 대를 잇는 충성을 강조한 겁니다.
광명성절은 북한의 도발 재개 시점으로도 관측되는데, 지난 1월 1일 이후 잠잠했던 도발을 다시 이어갈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앵커멘트 】
다음 달에는 대규모 한미 연합훈련이 예정돼 있죠.
이 역시 북한이 도발 명분으로 삼을 가능성이 큰 만큼 긴장의 끈을 놓쳐선 안되겠네요.
잘 들었습니다.
[ [email protected]]
영상편집 : 이유진
그래픽 : 박경희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 MBN 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mbn/comm...
MBN 페이스북 / mbntv
MBN 인스타그램 / mbn_news
![[평양돋보기] 열병식에 감춰진 북한 주민 눈물…아사자 속출 최악의 식량난 [MBN 뉴스7]](https://ricktube.ru/thumbnail/KdZrG8zt4xI/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