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국민연금 추후납부, 올해 할까? 내년에 할까? 지금 결정하지 않으면 평생 후회합니다. | 돈되는복지채널 | 연금 | 국민연금 | 기초연금 | 연금개혁 | 노령연금 |
Автор: 돈 되는 복지채널
Загружено: 5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2 055 просмотров
#연금개혁 #국민연금추후납부 #돈되는복지채널 #소득대체율 #기초연금 #국민연금 #연금 #투자
ㅇ 국민연금, 기초연금 , 건강보험료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함께 공유하면서, 여러분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연금 상담 및 문의, 컨설팅, 강의 등) : [email protected]
ㅇ 본 영상에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발생한 제휴 링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ㅇ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돈되는복지채널
ㅇ 국민연금 개혁 방향이 거의 확정됐습니다. 가장 먼저 민감하게 반응하는 분들이 추후납부 대상자들입니다. 따라서 제1부에서는 추후납부를 2025년에 하는 게 좋은 지, 2026년에 하는 게 좋은 지, 그리고 월 보험료 수준을 얼마로 결정하는 게 좋은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봤습니다.(제2부에서는 일시납과 분납, 추납액 소득공제 예정)
ㅇ 핵심내용
첫째, 가능한 연금개혁 전에 추후납부하는 게 좋습니다. 그러나 2026년에 추후납부해도 별 차이가 없습니다.
둘째, 재평가율과 소득대체율은 연단위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추후납부를 1월 달에 하나 12월 달에 하나 그 효과는 동일합니다.
셋째, 소득이 없는 임의가입자와 임의계속가입자, 소득이 불분명한 지역가입자는 월 보험료 수준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넷째, 부부의 건강이나 소득 및 재산 상황에 따라 월 보험료 수준을 합리적으로 결정허십시오
ㅇ 주요내용 및 순서
국민연금 개혁이 합의됐다.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가장 민감한 사람은 추후납부 대상자들이다.
추후납부를 2025년에 할까? 2026년에 할까?
추후납부 시기 결정을 위한 기본모형
2025년 추납 대비 2026년 추납 비교표
추후납부 시기에 대한 참고사핟
추후납부 시 월 보험료는 얼마로 결정하는 게 좋을까?
추후납부 시 월 보험료 결정을 위한 위사결정 모형
소득이 없는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들이 월 보험료 결정 시 고려사항
핵심포인트
본 자료는 제한된 정보와 일부 가정을 전제로 일반적인 기준에 따라 작성했습니다. 개별 사안에 따라서는 실제와 다소 차이가 있거나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고, 보다 자세한 사항이나, 궁금하신 내용은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1355에 문의하시고, 댓글로 의견주시면, 힘닿는 대로 소통하겠습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