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은 데이터로 저장, 노화 세포는 제거… 인류, 영생에 도전하다 | 오지랖
Автор: 조선일보
Загружено: 23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 940 просмотров
122세까지 산 잔 칼망처럼 인간의 수명은 계속 늘고 있으며,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100세 시대'를 넘어 ‘초장수 시대’도 가능하다는 논의가 활발합니다. 연구자들은 젊음을 유지하고 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실험하고 있는데요, 그 중심에는 장기 교체, 노화 인자 제거, 장수 생물 연구 등이 있습니다.
스탠퍼드대 나카우치 교수는 줄기세포로 만든 감각과 의식이 없는 인체인 ‘보디오이드’를 통해 장기를 교체하고 임상실험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환자 맞춤형 장기를 만들어 면역 거부 반응을 없애고,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인간 존엄성과 윤리 문제로 사회적 논의가 필수적입니다.
억만장자 브라이언 존슨처럼 젊은 혈장을 수혈하거나 노화된 세포를 제거하는 실험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혈액 속 단백질이나 노화 세포 제거를 통해 노화를 되돌리는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실제로 노인이 젊어지는 현상도 일부 실험에서 확인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 한계와 안정성 문제로 아직 갈 길은 멉니다.
400년 넘게 사는 그린란드 상어나 노화가 거의 없는 히드라, 그리고 단백질 응집을 막는 바다조개 등 다양한 생물체에서 장수의 실마리를 찾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과거 항생제나 비만 치료제처럼 생물 연구에서 뜻밖의 의학적 돌파구가 열릴 수 있기에, 생물학 기반의 진화적 접근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1세기 인류는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요? 채제우 기자의 '오지랖'에서 확인해 보시죠.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chosunmedia
◈ 사실에 대한 믿음, 할 말을 하는 용기. 조선일보◈
조선일보가 만드는 유튜브는 다릅니다.
구독! 좋아요! 공유하기! 는 사랑입니다❤
🔸 조선닷컴 공식 홈페이지 https://chosun.app.link/Tv2pQSJ3csb
🔸 조선일보 무료 구독 체험 https://chosun.app.link/j3tMd6O3csb
🔸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채널 '오!건강' 👉🏻 https://bit.ly/3JzNuS1 구독해주세요!!
◈◈◈ 조선일보 유튜브 제작협찬 및 제휴광고 문의 ◈◈◈
👉🏻👉🏻👉🏻 [email protected] 👈🏻👈🏻👈🏻
#조선일보 #오지랖 #영생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