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유격대대
Автор: MARINEBOY
Загружено: 8 дек.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67 209 просмотров
이것은 해병 1사 기준이므로 2사와 6여단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제가 모든 부대에서 다 생활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틀릴수도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해병유격대대는 산림이 70%를 이루는 우리나라의 특성상 산악전과 회전익 항공기를 이용한 헬리본을 전문으로 하는 부대입니다.
산악유격전을 위해 기본유격이외에 고등산악유격을 필히 이수해야 하며, 작전지역의 특성상 북측지역의 설상지역에서의 작전을 감안하여 강원도 황병산에서 수색대와 더불어 동계스키훈련도 실시하는 부대가 되겠습니다.
또한, 공정대대가 헬기나 항공기를 이용한 낙하침투(에어본)을 수행한다면, 유격대대는 레펠/패스트로프와 뛰내리기드랍을 이용한 헬리본을 주로 수행합니다.
해병유격대대는 초기 상륙전시에 중무장/후발대 성격이 강합니다.
특수수색대가 D-day전에 선견작전을 실시하고 기습특공대가 필요지역에 기습특공을 실시하게 되면
대규모 상륙전시에 중무장형태로 상륙돌격의 형태를 주로 가집니다.
물론 이것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기습특공의 기습작전이나 공중돌격이 여의치 않을시에는
유격대대건 기습특공대대건 공정대대를 불문하고 모두 상륙돌격의 형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상륙거점 후방에서의 교란작전이 필요하고, 상륙해안의 병력투사만으론 어렵다고 판단될시에는 기습특공대가 상륙돌격을 감행하고, 공정대대는 에어본, 유격대대는 헬리본으로 수직기동할
수있습다
만약 모지역의 초기방어가 성공하고, 해상으로의 상륙작전이 어렵게 되었을경우에는 산악을 통한 북측으로의 기동작전에 최선봉에 설 수도 있는 부대입니다. 때문에 산악무장구보기록도 중요시합니다.
하지만, 해병유격대가 행하는 산악유격전은 빨치산이나 게릴라와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단위부대가 산악거점을 중심으로 초기통로확보 및 후발지상군과의 연계를 위한 산악지역 확장개념입니다.
더불어 해안교두보의 확보만을 중요시하던 구시대와는 확연히 달라진 현대의 상륙전에서, 해안의 장애물을 그대로 통과하여 적의 측면이나 목표지역까지 바로 타격이 가능한 STOM의 최선봉 부대입니다.
(STOM : 쉽게 설명하자면, 함정에서 헬기나 부양정등으로 입체고속기동하여 장애지역을 뛰어넘어 종심지역까지도 단숨에 이동하는 고속기동전입니다.)
#해병대유격대#해병대23대대#해병대33대대#해병대73대대#헬기레펠#패스트로프#해병대1사단#해병대2사단#해병대6여단#해병대9여단#해병대연평부대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