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위 Petasites japonicus 생약명 봉두채峰斗菜 두통 태독 염증 관지염 기침 가래 해열 야생화를 찾아서(649) 금산 백암리
Автор: 华伯
Загружено: 12 нояб.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29 просмотров
야생화를 찾아서(649)
in search of wildflowers
국명
머위
학명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영어명
Petasites japonicus
butterbur
Japanese butterbur
bog rhubarb
giant butterbur
이명 향명
머국
머우
머구
봉두엽
흑남과 黑南瓜
백채(白菜)
フキ
명칭유래
녹색의 넓은 모자라는 뜻에서 유래하고 잎의 모양에 연유한다.
꽃말
공평
분류
대한민국,일본 원산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생태
꽃줄기는 높이 5-50cm,
잎 모양의 포가 어긋나게 달린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몇 장이 나며,
신장상 원형으로 길이 4-12cm, 너비 9-21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20cm다.
꽃은 3-4월에 암수 딴 포기로 피며,
많은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암꽃은 흰색, 수꽃은 연한 흰색이다.
분포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부 등에 분포한다.
특징
머위의 꽃대를 관상하려면
뿌리털을 붙여서 캐내야만 한다.
머위의 꽃대에는 암·수의 구별이 있어서
꽃이 질 무렵에 꽃대가 신장하는 것이
암그루이다
동정同定
머위와 비슷한 털머위는 남쪽 지방과
울릉도의 바닷가 숲 속에서 자라는데,
머위와 달리 암꽃과 수꽃으로
따로따로 피지 않고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안에 있으며, 꽃색도 노란색이다.
개머위
5~7월에 흰색과 백황색 꽃이 핀다.
강원도의 산 등 산에서 자라서
흔히 산머위라고도 한다.
용도
어린잎과 잎자루를 식용하며,
어린순은 약용한다.
특히 잎자루 부분의 머위대는
육개장이나 나물 반찬에 이용된다.
활용
봄에 돋는 연한 잎은 데쳐서
쓴 맛을 우린 후 나물로 볶아먹는다.
봄에 어린잎을 데쳐서 초고추장에
무쳐 먹거나 쌈을 싸 먹고
여름에 된장국을 끓여 먹거나
장아찌를 담가 먹으며,
잎자루를 데쳐서 무쳐 먹고
꽃은 튀겨 먹는다.
나물이나 국거리로 활용되는 머위대는
머위의 잎자루로 식용으로 이용할 때는
겉의 질긴 껍질 부분을 벗겨내고 쓴다.
머위의 꽃봉오리와 줄기는 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리고 머위 뿌리는 캐어서
햇볕에서 말려서 사용한다.
차를 끓여 먹기도 하고
술에 담가 약술을 만들기도 한다.
생약명
봉두채(峰斗菜)
관동화(款冬花)
백채(白寀)
탁오(橐吾)
약리작용
머위의 효능으로는 두통과 편두통의 완화,
염증 치료, 기관지염 개선 등이 있다.
기침이나 가래가 나올 때 꽃을 먹으면
효과가 있으며, 땅속줄기는 해열에,
뿌리는 어린이의 태독 치료에 쓰인다.
근경은 구어혈(驅瘀血) 해독 소종(消腫)에 효능
여적 餘滴
동의보감 효능
백채(白菜, 머위)는 성질이 평(平)하고 독이 없다.
줄기를 뜯어다 삶아 국이나 나물을 하여 먹으면 아주 좋다.
본초강목
이 풀은 겨울을 이겨내고 자라므로
관동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백암 1리(개티)
분동에서 버드내 건너 남서쪽으로 자리한 마을을
개티(介티)라고 부으며 개티에서 진산면 지방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개티 고개라고 부르는데
그 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개티라고 부르고
마을 앞 들은 갱니평이라 부른다.
옛날에 성주배 씨(星州裵氏), 청주한 씨(淸州韓氏)가
많이 세거한 마을이다.
백암 2리(분동)
배미 남서쪽에 있는 마을을 분동
또는 분골이라 부르며 마을 앞으로
넓은 들과 버드내를 안고 있는 마을이다.
옛날부터 분토가 많이 나는 마을이므로
분골, 분동이라고 부르며 김제김 씨(金堤金氏)와
금능김 씨(金陵金氏), 거창유 씨(居昌劉氏)가
많이 세거하는 마을이다.
백암 3리(배미)
북쪽과 남쪽으로는 산을 끼고 야산과 들이
펼쳐지는 자리 그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분동 동북쪽에 자리한 마을로 지형이
뱀처럼 되어 있다 해서 비아미, 비애미, 배미
또는 백암(白岩)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경주최 씨(慶州崔氏)가 많이 세거 하는 마을로
배미와 분동 사이에는 운하산이 있으며
시암골이라고 부르는 골짜기에는
유명한 약수가 나오는 샘도 있다.
대전 중구 어남리
Eonam-ri, Jung-gu, Daejeon
충남 금산군 복수면 백암리
Baegam-ri, Boksu-myeon, Geumsan-gun, Chungcheongnam-do
2024-11-12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