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주역 화뢰서합.解.Writer Anyangsik. 구독 좋아요.더보기에 해설있음
Автор: 주역 周易 Anyangsik
Загружено: 31 авг.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18 просмотров
[21]. 火雷噬嗑
序卦;可觀而後有所合 故 受之以噬嗑하고 하였다.
繫辭;噬嗑亨利用獄
한문해;噬씹을서.嗑입담을합.말많을합.火불화.雷우레뢰.可옳을가.觀볼관.而말이을이.後뒤후.有있을유.所바소.合합할합.故옛고.受받을수.以써이.亨형통할형.利이로울이.用쓸용.獄옥옥.
기본해석; 1)서합은 형통하니 옥을 이용함이다
2)서합은 형통하다
공정한 재판으로 죄를 다스림이 이롭다.
獄자를 금문에서 보면 가운데 말씀言를 좌우에 犬이 서로 마주보는 모양새다. 개들이 싸우는 것으로 보면 가운데서 말로 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아니면 두 마리의 다툼의 죄를 판결하는 것으로 이해 되겠다.
서합이 형통하다는 것은 공정한 판결로 시비를 가려 죄를 다스리는 것이 이롭다 하겠다.
彖曰; 頤中有物曰噬嗑 噬嗑而亨
剛柔分動而明雷電合而章
柔得中而上行 雖不當位利用獄也
한문해;頤턱이.中가운데중.物만물물.曰가로왈.噬씹을서.嗑말많을합.亨형통할형.剛굳셀강.柔부두울유.分나눌분.動움직일동.明밝은명.雷우레뢰.電번개전.章글장.빛날장.得얻을덕.上위상.行갈행.雖비록수.不아닐부.當당할당.位자리위.獄옥옥.也어조사야.
기본해석;물건이 입속에 있는 것이 서합이다. 씹어 먹으면 형통하니라 강유가 나뉘고 움직이면 밝아지니 우레와 번개가 합하여 빛나고 柔가중을 얻으면 위로 올라간다 하니 비록 위는 마땅치 못하나 옥을 쓰는 것이 이로우니라.
頤中有物噬嗑;입속에 있는 물질이 서합이다
噬嗑而貞; 그래서 서합은 형통하다. 형은 원형이정 입속의 물질을 백성으로 보고 온 나라 백성이 화합을 이루는 것이다
剛柔分動而 明;剛은 辰(陽 長男) 柔(陰離火둘째딸) 動은 震이고 明離火 震은 雷이고 離火는 電(번개전)
合而章(빛날장)합해져서 빛남이라.
柔得中而上行;중을 얻은 위에 있는 5효를 말하는데 상행은 위의 단괘를 말한다.
雖不當位利用獄也;비록 자리가 마땅치 않은나 옥으로 다리면 이로움이다. 오효는 陽자리 인데 陰이 왔으니 자리가 마당치 않으나 中를 얻은자리고 임금자리이니 잘잘 못을 옳게 판단하니 獄을 이롭게 쓰임이다. 즉 공정한 판단으로 죄를 다스림이 이롭다로 해석 가능하겠지요
初九;屨校滅趾无咎
한문해;屨신구(신, 신다, 신을 신다, 자주, 여러 번).校학교교.滅멸망할멸.趾발지.无없을무.咎허물구.
기본해석
족쇄를 씌워 발목을 멸하니 허물이 없다.
屨(신구.짚신 가죽신 신다.밟다.)校는(木囚(가둘수.죄인)즉 屨校는 나무로 형틀을 만든 것 말하는것이고.
滅趾;발을 음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쓰였지요 그러므로 허물이 없다.
초구는 덕성으로는 잠용물용 공부하고 수양하고 덕성을 쌓을 나이이고 밖에 나아가면 안되는 爻
또한 초효 한문으로 해석하면 범죄자를 다시는 죄를 못 저질리지 못하게 족쇄를 채워났으니 허물이 없다는 경계사로 해석하면 어떨까도 싶네요.
또한 굳이 역사성을 부여한다면
商의 마지막 왕 紂王때 서백을 잡아 옥에 갇이게 하는 시기라 볼 수 도 있겠다. 주왕측에서 보았을 때 주나라가 상나라를 공격할 낌새를 미리 발견하고 발을 묶어 놓은 것으로 이해하면 문장이 이해가 가시겠지요 (서백이 모함으로 감옥에 갔지만요.)
六二
噬膚滅鼻无咎.
한문해;噬씹을서.膚살갗부.滅멸망할멸.鼻코비
기본해석
살을 물어 뜯다가 코를 멸하니 허물이 없다.
噬膚滅鼻; 피부를 물어 뜯은 것과 코까지 멸했으니 초효부다는 더 큰 죄를 지었다는 것으로 이해 된다.
코이야기를 역사 배경으로
帝王世紀 나오는 이야기를 보면 문왕이 유리감옥에 있을 때 주왕이 문왕 큰 아들 백읍고를 죽여 시체 살로 만두속을 만들어 문왕에게 먹도록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紂王이 문왕이 진짜 성인인가를 테스트 해 본 것이다 성인이라면 어찌 아들시체로 만든 만둣국을 먹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먹였는데 서백은 큰일을 하기 위해서는 어차피 안먹어도 죽임을 당할거고 紂王의 경계를 풀게 하기위해 아들 시체로 만든 만둣국을 코를 막고 먹었다는 것이다.
六參
噬腊肉遇毒小吝无咎
한문해;腊 포 석;포, 건어(乾魚), 오래다, 오래.肉고기육.遇만날우.毒독독.小작을소.人사람인.
기본해석
마른 고기를 씹다가 독을 만남이다 조금 부끄러운 일이나 허물은 없다
腊肉遇毒;죄인을 다루는 어려움을 마른 육포와 독약에 비유했다.
이것은 역사와 같이 이해함이 좋다고 본다.
서백이 주왕때 옥에 갇힌 일로 본다면 주왕이 서백에게 형벌을 가하려다가 여러 신하들과 지인들의 만류에 봉착하게 된다. 전술가 태공망이 각종 보물과 그 시대의 최고의 미인을 구해서 주왕에게 받치고 역사상 나타나지 않은 더 많은 것으로 주왕의 마음을 돌렸겠지요
九四
噬乾胏得金矢 利艱貞吉
한문해;噬씹을서.乾마을간.하늘건.胏밥찌끼 자; [zǐ]
밥찌끼, 먹다 남은 밥, 뼈가 붙은 마른 고기, 마른 고기, 포
得얻을득.金쇠금.矢화살시.利이로울이.艱어려울간.貞곧을정.吉길할길
기본해석
건포를 씹다가 금으로 된 화살촉을 얻었으니 어려움속에서도 바르면 길하리라.
⤘乾胏得金矢;뼈가 붙은 말린고기를 이빨로 끊어서 먹기가 힘들다. 금속으로 만든 화살촉을 乾道에 비유 金이 乾도이니 그만큼 天地의 道를 깨우치기 힘들다는 것이다(玉篇에서 姊는 뼈가 붙어있는 고기)
利艱貞吉; 그 어려운 것을 똑바로 했으니 길하고 이로우니라.
역사성으로 보면
서백이 羑里감옥에서 풀려나 주왕으로부터 활과화살를 하사받아 상나라 주변의 제후국들을 정벌하게끔 권한을 주었을 때로 이해 하면 되겠다.
六五;
噬乾肉得黃金貞厲无咎
한문해;噬씹을서.乾마을건.마을간.肉고기육.得얻을득.黃누루황.金쇠금.貞곧을정.厲위태울려.갈려.두려울려.无없을무.咎허물구.
기본해석
마른 고기를 씹다가 황금을 얻어도다 위태롭지만 또바르면 허물이 없다.
乾肉은 마른고기 육사에서는 乾胏였다. 둘다 乾은 마른고기다.
乾胏는 뼈가 있는 질긴고기로 보고 음식찌꺼기로 보기도 하니 紂王따르는 臣下로 보고 마른고기 乾肉은 紂王으로 보자
噬乾肉은 武王이 紂王를 정벌하러 가는 말이다.
得黃金에서 黃은중도에 맞는 공정한 판단을 의미하고 금은 왕을 상징하고 즉 주변 제후국으로부터 무왕문왕이 왕으로 칭해지고 있었다는 때를 의미한다.
貞厲无咎는 卦象으로 보면 자리가 마탕치 않다.
역사로 보면 무왕이 맹진에서 회군할 때 상황을 보면 위태로운 것을 고집하지 않고 회군해서 허물이 없다로 보면 되겠다.
上九
何校滅耳凶
한문해;何어찌하.校학교교.滅멸망할멸.耳귀이.凶흉할흉
기본해석
귀를 멸했으니 흉하리라.
何校는 어깨에 걸어서 구멍으로 목만 내놓는 형틀이다.
滅耳는 귀를 자른다거나 귀의 기능을 없애는 즉 듣는 기능을 멸하는 것을 말한다
역사성으로 보면 주나라가 상나라를 멸한뒤 상나라 죄수들 난동자들을 처형한 일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글자들이다.
⇝火雷噬嗑은 입안의 씹은 음식물을 성인지도로 백성의 天人合一으로 승화하는 것을 음식물 腊肉 乾胏 乾肉등 으로 비유적으로 풀어갔다.
![[21]주역 화뢰서합.解.Writer Anyangsik. 구독 좋아요.더보기에 해설있음](https://ricktube.ru/thumbnail/Mq0FKvf8be4/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