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흑백상감산수풍류도매병 (高麗靑磁黑白象嵌山水風流圖梅甁)
Автор: 중도갤러리
Загружено: 15 янв.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75 просмотров
국가 및 시대: 고려, 13세기 (고려 후기)
제작 연대: 1264년 (첨단과학감정원 연대측정 결과)
왕: 고려 원종(元宗, 1259~1274)
제원: 높이 40.7cm (좌대 포함 55cm), 구연부 지름 7.5cm, 몸통 폭 24.5cm, 밑지름 16.5cm
유약: 반투명 녹청색 유약
재료: 백토 및 철분 함유 안료
형상 및 기법: 매병형, 흑백상감 기법
문양구성: 산수도와 풍류도, 소나무와 폭포, 인물, 과실나무, 주막, 사슴, 학 등
첨단과학감정결과: 제작 연대 1264년 확인, 구성 재료 분석 및 진품성 보증
문화적 가치: 왕실 및 귀족의 이상적 삶과 고려 예술적 완성도를 담아낸 대표적 유물
고려청자흑백상감산수풍류도매병은 1264년 제작된 고려 후기의 도자기로, 산수도와 풍류도를 흑백상감 기법으로 표현한 예술 작품입니다. 첨단과학감정을 통해 진품성을 확인받았으며, 소나무와 폭포, 풍류를 즐기는 선비와 여인의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특히, 좌대와 뚜껑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전체적인 완성도가 돋보이며, 고려 도자기의 높은 기술력과 예술적 성취를 보여줍니다. 자연과 인간의 이상적 조화를 담은 이 매병은 왕실 의례 및 귀족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며, 월드아트엑스포2025에서 전시될 예정입니다.
※ 더욱 자세한 설명과 사진자료는 [네이버카페] 중도갤러리에서 열람가능합니다. ※
https://cafe.naver.com/jungdogallery
=======================================
■ 도자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소장문의]방법
◇ 네이버카페 [중도갤러리] 검색
◇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중도갤러리] 검색
◇ [email protected]
=======================================
#고려청자 #흑백상감 #산수풍류도 #고려도자기 #고려예술 #도자기역사 #첨단과학감정 #왕실문화 #자연과조화 #풍류문화 #한국도자기 #문화유산 #고려왕실 #예술적완성도 #탁주문양 #사슴문양 #학문양 #고려유물 #고려청자분석 #월드아트엑스포2025
#高麗青瓷 #黑白象嵌 #山水風流圖 #高麗陶器 #高麗藝術 #陶器歷史 #尖端科學鑑定 #王室文化 #自然與和諧 #風流文化 #韓國陶器 #文化遺產 #高麗王室 #藝術完成度 #濁酒圖案 #鹿紋圖 #鶴紋圖 #高麗文物 #高麗青瓷分析 #世界藝術博覽會2025
#GoryeoCeladon #BlackWhiteInlay #LandscapeAndLeisure #KoreanCeramics #KoreanArt #CeramicsHistory #AdvancedScientificAppraisal #RoyalCulture #NatureAndHarmony #LeisureCulture #KoreanPottery #CulturalHeritage #GoryeoRoyalFamily #ArtisticPerfection #RiceWineMotif #DeerPattern #CranePattern #GoryeoArtifacts #GoryeoCeladonAnalysis #WorldArtExpo2025 #koryo #porcelain #KoryoPorcelain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