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능검사 결과해석하는 법(빌리루빈, 황달)
Автор: GC녹십자의료재단 공식채널
Загружено: 4 окт.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20 158 просмотров
건강검진을 했더니 빌리루빈이라는 항목의 수치가 높게 나오신 분 있으신가요? 검사전문기관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전문의의 설명을 통해 원인과 주의사항을 쉽게 파악해보시기 바랍니다.
--------------------------------------------------------------------------------------------------------------------------------------------------------------
0:00 하이라이트
0:14 주제(황달과 빌리루빈 검사)
0:25 황달, 빌리루빈이란?
0:53 빌리루빈의 종류
1:35 간접빌리루빈수치가 높은 이유
3:09 직접빌리루빈수치가 높은 이유
3:27 실제 검사결과 해석
3:43 딱 참고치만큼 높을 때
4:03 간접빌리루빈이 유독 높을 때
4:39 직접빌리루빈이 유독 높을 때
--------------------------------------------------------------------------------------------------------------------------------------------------------------
건강검진 후 본인의 결과치에 대해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1. 간접빌리루빈의 상승 원인 - 참고치 : 0~0.7(mg/dL)
간접빌리루빈이 증가했다면, 간과 그 이전 단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인데요.
1) 적혈구가 많이 파괴되어 너무 많은 양의 간접빌리루빈이 생성될 때입니다. 간세포가 포합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기 때문에 직접빌리루빈으로 변하지 못하고 간접빌리루빈이 축적되는 것이지요. 혈액 적혈구가 과도하게 파괴되는 용혈성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2) 간접빌리루빈을 간으로 운반하는데 장애가 있거나 혹은 간의 내부에 담즙이 정체되어 들어온 간접빌리루빈을 적절히 처리해내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도 간경변, 각종 간염과 같은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접빌리루빈의 수치가 높다면 간에도 문제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AST/ALT 의 비율도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3) 길버트증후군. 인구의 약 8%에서, 그리고 특히 남자에게서 잘 발생하는 이 유전질환은 황달 이외에 다른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요. 간접빌리루빈의 어떤 다른 상승요인이 없는 경우에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2. 직접빌리루빈의 상승 원인 - 참고치 : 0~0.3(mg/dL)
직접빌리루빈이 증가했다는 것은 빌리루빈이 간 자체 혹은 간에 도달한 이후의 문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간기능에 문제가 있을 때입니다. 간염, 간경변, 간부전 등의 질환으로 간에 문제가 있을 때, 직접빌리루빈을 잘 배출해내지 못할 때입니다.
2) 간의 내부 혹은 간 외부의 담관이 폐쇄가 되었을 때 입니다. 당연하게도, 생성된 직접빌리루빈이 담관을 통해 배설되어야 하는데, 담관이 폐쇄되었다면 직접빌리루빈이 배출되지못해 축적될 수 밖에 없겠습니다.
3) 듀빈존슨증후군과 같은 유전질환 때문일 수 있습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