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양민들레 dandelion 들민들레 약포공영 생약명 포공영蒲公英 약민들레 미국민들레 セイヨウタンポポ야생화를 찾아서(765)
Автор: 华伯
Загружено: 21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53 просмотра
야생화를 찾아서(765)
in search of wildflowers
국명 정명
서양민들레
학명 정명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영어명칭
dandelion
이명 향명
양민들레
들민들레
약포공영
약민들레
미국민들레
セイヨウタンポポ
명칭유래
토종 민들레와 구분하기 위해 붙여진 접두사 '서양'이 붙은 이름
꽃말
감사하는 마음
행복
감사
사랑을 바침
경박
분류체계
국화목 국화과 민들레속
생태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들이나 길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환경 조건이 나빠지면 꽃가루받이 없이
단위생식으로 씨를 만든다.
뿌리
굵고, 땅속 깊게 들어간다.
잎
모두 뿌리에서 나며,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10~30cm, 폭 2~6cm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꽃
3~9월에 머리모양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2~5cm이며,
노란색이다.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진다.
꽃줄기
높이 5~10cm이며, 꽃이 진 후에 더 자란다.
모인 꽃싸개
넓은 종 모양으로 길이 1.5~2.0cm이다.
모인 꽃싸개 조각은 3줄로 붙는데, 바깥쪽 조각은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진다.
열매
삭과, 4~10월에 익으며, 우산털이 있다.
수과는 갈색이며 편평한 방추형이고
짧은 돌기가 세로로 나열되며 길이 2-4mm로서
윗부분이 부리처럼 길어지고 관모는 백색이며
수과 끝에 산형으로 길게 퍼진다.
분포 서식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동정同定
우리나라의 민들레속 식물들에 비해서 도시에서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꽃이 필 때 모인 꽃싸개잎의
바깥쪽 조각이 뒤로 젖혀지므로 구분된다.
민들레
꽃받침잎에 작은 돌기가 나 있다.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서양민들레보다 색상이 흐리다.
흰민들레
꽃이 백색이고 꽃받침이 위로 치켜져 올라 있다.
흰민들레는 우리 토종민들레이다.
좀민들레
제주도에 분포하는 작은 민들레이다.
‘좀’이란 작다는 뜻이다.
알프스민들레
털이 많고 잎이 갈라지지 않는다.
붉은씨민들레
열매의 색깔이 붉다.
용도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으로 사용한다.
식물체에 쓴맛이 있는 백색 유액이 있고
유럽에서는 잎을 샐러드로 사용하며
뉴질랜드에서는 뿌리를 커피 대용으로 사용한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사용법
봄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이나 후에
뿌리째 뽑아 흙을 털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10-30g(대량투여약일 경우는 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 낸 즙을 복용하던가 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은 짓찧어서 바른다.
조리법
서양민들레는 어린잎과 뿌리를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린잎은 나물로 무쳐 먹고, 뿌리는 김치를 담가 먹는다.
잎과 뿌리는 말린 뒤 가루 내어 차로 우려서 마실 수도 있다.
약재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꽃과 뿌리 등을 쓴다.
생약본초명
포공영 蒲公英
약리작용
염증 완화에 탁월한 효능을 가진다.
항산화 성분이 들어있어 노화방지에도 도움이 되고,
혈관계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를 개선하는 데에도 좋다.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고혈압을 방지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여적 餘滴
한국의 토종민들레와는 크기와 색깔 등에서 차이가 나며
크기도 훨씬 크고 색깔도 훨씬 진하다.
취재 取材
이론은 주로 On-Line에서 취합
AI 교신
2025-04-21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