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란? | 공유경제의 정의 및 예시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경제 책 리뷰
Автор: 책벌레 해님달님
Загружено: 1 авг. 2019 г.
Просмотров: 12 302 просмотра
안녕하세요 책벌레 달님입니다.
전세계 최대 승차 공유업체 우버, 중국판 우버 디디추싱, 세계 최대의 숙박 공유 업체 에어비앤비, 세계적 사무실 공유 업체 위워크. 그리고 한국 카쉐어링 서비스 쏘카. 해가 갈수록 공유 경제를 모티브로 한 회사가 증가하고 있고 공유업체와 관련한 전망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 또한 많아지고 있습니다.
내가 자동차를 직접 소유하지 않아도 우버를 통해 다른 사람의 자동차를 공유해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고, 내가 가고 싶은 여행지 근처에서 에어비엔비를 통해 다른 사람의 집에서 머무를 수 있으며, 사업을 시작할 때 사무실 자리를 보러다니지 않아도 위워크를 통해 이미 시설이 완벽하게 갖춰진 사무실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모두 공유업체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렇다면 여러 공유업체들이 모방하고 있는 공유 경제란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오늘의 이야기는 시장 경제와 선물 경제 그 사이 어디쯤에 있는 공유 경제에 대해 정의와 예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공유 경제’ 책 리뷰 영상입니다.
우선 공유 경제의 정의를 이해하기 위해선 시장 경제와 선물 경제가 어떤 것인지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시장 경제란 우리가 알고 있듯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책정하고 소비자와 공급자가 거래하는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의미합니다. 이에 반대편에 있는 선물 경제는 Gift라는 말 그대로 선물로, 돈을 바라고 물건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상업적 요소가 아니라 물건을 준다, 즉 증여의 행위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간의 신뢰를 쌓게 되는 것이죠. 선물 경제에서 평소 우리가 알고 있는 돈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사회적 관계, 즉 신뢰’입니다.
정리하자면 공유 경제는 돈을 주고 받아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과 증여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간의 신뢰를 쌓는 행위를 혼합한 형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숙박 공유 업체라 불리는 세 개의 업체 카우치서핑, 에어비앤비, 원파인스테이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가장 선물 경제의 형태를 띠고 있는 카우치서핑을 이용하는 방법은 회원가입 후 회원이 되면 다른 회원의 침실에서 숙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회원이 자신이 사는 지역에서 숙박하기를 원하면 이들에게 자신의 침실을 내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의 침실을 내줄 때 돈이 오가지 않으며 자신이 받은 만큼 그대로 돌려줘야 한다는 시스템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저 자신의 침실을 내주며 준 만큼 돌려받는 그런 체계가 아니라 우리가 친구의 집 근처로 여행을 갔을 때 하루만 재워달라고 하는 것처럼 낯선 사람의 집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레 집을 제공하는 사람은 어떤 이득을 얻는 것인가 의문이 들텐데요. 카우치서핑은 숙박 플랫폼이 아니라 일종의 소셜 네트워크입니다. 회원들은 자신의 집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그들과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그 자체를 의미있는 행위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기존의 우리에게 익숙한 시장 경제에서는 설명하기 힘든 플랫폼이라 할 수 있죠.
카우치서핑과 반대편에 있는 가장 시장 경제를 표방하는 것이 원파인스테이입니다. 원파인스테이는 고급스러운 주택, 요트, 별장 등을 빌려주는 사이트입니다. 이 서비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호텔과 같이 침구 교체, 24시간 항시 서비스 등의 편의시설을 포함해 숙소 주인이 자신의 고급스러운 주택을 공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편의 시설과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숙소 주인이 숙소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공유 경제에 속하긴 하지만 다양한 서비스가 플랫폼 수준에서 제공되고, 가격 또한 비싸다는 점에서 가장 시장 경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숙박 공유 업체 중 가장 중립적인 위치라 부를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그 유명한 에이비앤비입니다. 우선 에어비앤비에서는 자신의 집을 다른사람에게 공유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에게는 일정 금액의 수수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숙박 시설을 이용하려는 사람들도 호텔보다는 저렴하지만 사이트에 제시된 가격을 지불해야 이용가능하죠. 이런 면에서 에어비앤비는 우리가 알고 있는 시장 경제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에어비앤비는 여기에 선물 경제의 특성이 있습니다. 에어비앤비 호스트 중에는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여유로운 공간을 ‘선물’처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자신이 만든 음식이나, 가지고 있는 와인 등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선물 경제의 특성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에어비앤비 이용자는 다른 사람의 가족사진 등 집안에 있는 사적인 것을 공유하며 사회적 교감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호텔에서 머무를 때는 아무 생각없이 수건을 던져놓는다면 에어비앤비를 이용할 때는 그렇지 않습니다. 또 마지막으로 아무런 혜택이 없어도 숙소에 대한 리뷰를 남길 때 다른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숙소에 묵는 것에 대한 장점들을 나열하는 것도 선물 경제의 특성이라 볼 수 있습니다.
종합하자면 공유 경제란 평상시 우리가 익숙한 시장 경제와 증여와 사회적 유대를 바탕으로 하는 ‘선물 경제’의 중간에 위치한 새로운 유형의 경제체제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공유 경제와 관련된 디지털 산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이베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책벌레 달님입니다.
감사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