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경 봉독으로 시작된 초하루법회
Автор: 봉원사
Загружено: 6 апр. 2025 г.
Просмотров: 119 просмотров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 위치한 봉원사에서는 매월 음력 초하루(1일) 불자들의 한 달 정진을 발원하는 초하루법회가 봉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법회는 법주 교무 여범 스님의 주관하에 진행되었으며, 천수경 21편 독송으로 시작되어 회향까지 원만히 봉행되었습니다.
📖 천수경이란?
천수경(千手經)은 관세음보살을 찬탄하며 그 자비심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불교 경전입니다.
‘신묘한 장(章)과 구(句)를 모아 놓은 큰 다라니’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관세음보살과 삼보에 귀의하고, 탐·진·치의 삼독심을 가라앉혀 깨달음을 기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천수경은 고려시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의 모든 종파에서 널리 독송되어 왔으며, 불자들의 신행생활에 중심이 되는 대표적 독경 경전입니다. 염송을 통해 깨달음을 얻거나 소원을 성취한 사례들이 전해지면서, 한국불교 신앙의 소의경전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 천수경의 구조와 전승
천수경은 원래 중국 당나라 시대에 여러 고승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번역되어 전해졌습니다. 대표적인 전승 계통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범달마(伽梵達磨) 번역 『천수천안대비심다라니경(千手千眼大悲心陀羅尼經)』
지통(智通) 번역 『천안천비관세음보살다라니신주경(千眼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
보리류지(菩提流支) 번역 『천수천안관세음보살모다라니신경(千手千眼觀世音菩薩摩陀羅尼神經)』
이러한 다양한 계통의 경전들이 한국불교 전통 속에서 재구성되었으며, 오늘날에는 21편으로 구성된 독자적인 판본이 형성되어 전국 사찰에서 널리 독송되고 있습니다.
천수경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구업진언, 개경게, 대다라니계청, 사방찬, 도량찬, 참회게, 천수다라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도의 시작부터 회향까지를 아우르는 완결된 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 이번 법회 동참 스님
여범 스님(주재), 정명 스님, 효성 스님, 진산 스님, 현욱 스님, 회정 스님, 보현 스님
천수다라니의 맑고 깊은 울림으로 시작된 봉원사의 초하루법회는 불자들의 한 달 정진을 여는 뜻깊은 시간입니다.
다음 초하루에는 여러분도 함께 동참하셔서 관세음보살의 자비를 가슴에 새겨보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 http://bongwonsa.or.kr/
유튜브 검색창 = 천년고찰봉원사
Photo & Edit : [email protected]
Music
Background serenity music - Ai
구독과 좋아요는 제작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상해주신 모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성불하십시오.
🙏🙏🙏
봉원사의 모든 영상은 4K로 제작됩니다.(일부 2k, FHD가 포함됨)
'좋아요'와 '구독' 눌러주시면 제작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