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쏠림이 원인…지자체 연계 특성화가 활로? / KBS 2023.01.23.
Автор: KBS News
Загружено: 23 янв. 2023 г.
Просмотров: 2 886 просмотров
지방대학교 위기를 가속화하는 원인 중 하나가 수도권에 집중된 일자리입니다. 주요 기업 75% 이상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몰려있습니다. 교육부는 지방대 육성 권한을 지자체로 넘기고 지자체 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대를 살리겠다는 방침입니다. 이어서 윤아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남 지역 사립대를 다녔던 김채현 씨.
입학 1년 만에 수도권 대학 편입을 준비 중입니다.
[김채현/대학 편입 준비생 : "우선 천안에는 제가 원하는 직종의 회사가 없었고…. 정작 취업 준비할 때 정말 필요한 면접학원이나 그런 세세한 것들까지 배울 수 있는 학원들은 없었단 말이에요."]
실제로 수도권 전입 인구 중 20%는 직업 때문에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매출 상위 기업 75%가 수도권에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학령인구까지 감소하다 보니, 지방대 위기는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생존을 위해 지방대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통합 유보 대학 관계자/음성변조 : "(통합 상대 대학) 동문회는 학교 이름 없어진다 이거예요. 모교가 없어지는 데 대한 이런 부분이 하나 있었고…(학생들은) '절차 논의 과정에 학생들의 논의가 빠졌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 같더라고요."]
교육부는 대학 정원과 학사 운영 등 대학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지자체에 대학 지원 권한을 대폭 넘기기로 했습니다.
지자체의 지역 발전 전략과 대학 특성화 사업을 연계해 지방대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입니다.
다만, 지자체 역량에 따른 양극화 우려도 나옵니다.
[김성천/한국교원대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 : "(지자체가) 역량이 없거나 어떤 철학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하다 보면 자칫 지자체 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고, 그것이 곧 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방대 육성과 관련한 법 개정과 함께 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가 절실하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윤아림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 김재현 허수곤/영상편집:장수경/그래픽:채상우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지방대 #일자리 #취업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