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소학7 (55붕우유과-61군위신강) [동양고전퓨전쓰기]
Автор: 여민락문화원TV
Загружено: 14 нояб. 2022 г.
Просмотров: 35 просмотров
#사자소학 #동양고전 #고전필사
☞본문 바로가기
00:15 55) 붕우유과
02:15 56) 면찬아선
04:26 57) 언이불신
06:20 58) 열인찬자
08:42 59) 원형이정
10:55 60) 부자유친
14:06 61) 군위신강
☞네이버카페명 : 여민락문화원
☞카페주소 : https://cafe.naver.com/yuminlark
☞자율구독료 계좌 : 신한은행 140-014-074602 여민락문화원
☎여민락총서 쓰기교재 제작 주문 연락처 : 010-3348-3005
▣사자소학7 (55붕우유과-61군위신강) [동양고전퓨전쓰기]
▣《사자소학四字小學 해설》▣
『사자소학』은 우리 조상들이 어린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기 위하여 엮은 기초한문교과서.
인간의 윤리도덕에 입각하여 주자의《소학小學》과 기타 경전 중에서 어린이가 알기 쉬운 내용들을 뽑아 사자일구四字一句로 엮었기 때문에, 사자소학四字小學이라 하였다. 주된 내용은 효도와 윤리도덕 및 벗 사귀는 법 등이다.
사자소학은 우리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과 어른을 공경하는 법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글이다. 옛 선조들이 서당에서 공부할 때 처음 배우던 것으로 모든 귀절이 넉자로 정리된 글로서, 한문을 익힘은 물론, 어른과 부모 앞에서 행실과 마음가짐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일러주고 있다.
『소학』이 어린 아이들이 읽기에는 너무 어려운 내용을 많이 담고 있는 데 비하여, 『사자소학』은 적은 양의 한자로 일상생활의 도덕을 쉬운 문장으로 풀어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자소학』은 서당에서 초학자들에게 도덕을 교육할 때 기초교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사자소학에는 충효의 의식을 고취시켜 바른 인성을 가진 인간을 육성하려는 교육관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효도를 제일 처음 덕목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짐승과 다름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충과 관련하여서도 인륜 중에 충효가 근본이므로, 효도에 힘쓰고 충성에는 목숨을 다하라고 권장하여, 결과적으로는 효도보다 충에 더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자소학에서는 이처럼 충효의식과 삼강오륜三綱五倫을 행하여 올바른 인성을 거둘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생활교육의 강화라는 측면에서도 『사자소학』에서는 윤리적 규범을 행동으로 실천하도록 구용九容과 구사九思, 사물四勿과 규율規律을 제시하고 있다. 구용이란 용태에 관한 규범이고, 구사란 사고를 신중히 하도록 권유하는 것이다. 사물四勿이란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고(비례물시非禮勿視),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고(비례물청非禮勿聽), 예가 아니면 말하지도 말고(비례물언非禮勿言),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도 말라.(비례물동非禮勿動)’에서 나타나듯이 일상 생활에서 예를 준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규율規律이란 ‘의관을 바르게 하라’(의관정제衣冠整齊)와 같이 실제 생활에서 꼭 지켜야 할 실천 사례를 규정해 놓은 것이다.
또한 향약의 실천 규약인 ‘덕업은 서로 권하고(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을 서로 바로잡아 주며(과실상규過失相規), 예에 맞는 풍속은 서로 사귀고(예속상교禮俗相交), 재앙과 어려운 일은 서로 도와라(환난상휼患嶪相恤)’는 내용을 제시하여, 사람이 서로 돕고 사는 태도를 실천에 옮겨 생활화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사자소학7 (55붕우유과-61군위신강) [동양고전퓨전쓰기]](https://ricktube.ru/thumbnail/U_cZYyZr10g/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