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비수술치료 가능한가요?
Автор: Doctalk
Загружено: 26 янв. 2024 г.
Просмотров: 5 просмотров
이 동영상 의료상담 답변은 '환자와 의사를 잇는' 닥톡에서 배포합니다.
출처 : https://www.doctalk.co.kr/counsel/vie...
한방병원에서는 척추관협착증 비수술 치료로 치료 가능하죠? 어머니가 갑자기 허리를 너무 아파하셔서 병원모시고 가서 MRI를 찍었더니 척추관협착증이라고 수술을 권하더군요. 고령이셔서.. 수술은 좀 불안하고, 치료를 받아보고자 하는데요. 수술권유를 받아도 비수술치료가 가능한건지.. 그리고 입원치료도 가능한건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어머님께서 척추관 협착증 통증으로 고생하시는 모습을 보시며 걱정이 많이 되셨겠습니다.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에 대표적으로 일어서거나 걸을 때 엉덩이나 다리에 통증이나 저림, 힘 빠짐 등의 증상이 있고, 허리를 굽히면 나아지고, 걷다가 쉬었다 가는 등 휴식을 취하면 완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척추뼈와 뼈 사이에는 디스크(추간판)라고 하는 섬유륜과 수핵을 포함한 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디스크는 나이가 지나면서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고, 이때 디스크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이 함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신경관이 좁아지면서 협착증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디스크라고 부르는 추간판탈출증보다 척추관 협착증은 비교적 고령의 나이에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의 수술치료는 비수술 치료를 지속적으로 6개월 이상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 되지 않는 경우나 통증 또는 마비감,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경우에 마지막으로 고려하게 되는데, 수술 이후에도 증상이 비슷하거나 부작용을 겪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고령의 연세이신 어머님의 경우일수록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해 본 후 증상이 여전할 때 수술을 고려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많은 어르신들이 수술 권유를 받은 후에도 적절한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많은 증상의 호전을 경험하고 계십니다. 다만, 비수술적 치료로 빠른시간내에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6개월에서 1년 정도로 장기적인 치료를 진행하는 편이고 최근에 보고된 연구에 의하면, 수술치료의 경우 초기에 빠른 효과를 보이지만, 비수술치료 또한 대략 6개월에서 1년정도부터는 수술치료를 받은 분들과 거의 동일한 통증 정도만을 호소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척추관 협착증에 관련된 한의학적 치료로는 염증과 통증을 잡아주는 약침치료와 침치료, 경직되고 불균형한 상태에 있는 근육과 체형을 교정하고 풀어주어 본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추나치료, 통증 개선과 신체 기능 회복을 위한 한약 치료 등을 병행하게 됩니다.
자세한 치료 과정 및 입원 치료에 관련된 내용은 환자분의 현재 상태와 검사 기록을 살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설명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니 MRI CD 및 판독지를 지참하시고 척추 전문의료기관에 내원하시어 전문 의료진과의 상의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