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이언스] 지질학자의 한반도 탐험이야기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 / YTN 사이언스
Автор: YTN 사이언스
Загружено: 12 апр. 2016 г.
Просмотров: 2 601 просмотр
[과학서재] 지질학자의 한반도 탐험이야기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앵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한반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기록이 없던 시대를 탐구하는 한 지질학자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 있습니다.
오늘 과학서재에선 한반도 지질학 책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의 저자 서울대학교 최덕근 명예교수 만나보겠습니다.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여행' 어떤 책입니까?
[인터뷰]
한 마디로 이야기하면 우리가 사는 한반도 땅덩어리의 역사를 다룬 책입니다. 그동안 제가 주로 연구한 암석이 10억 년 전 이후의 암석이기 때문에 한반도에서 10억 년 전 이후에 일어났던 지질학적 사건들을 중심으로 중요한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저는 2년 전인 2014년에 '한반도 형성사'라는 제목의 책을 발간했습니다. 그 책은 지질학을 전공한 사람들을 위한 전문서적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읽기에는 조금 어려워요. 그런데 일반인들에게도 우리 한반도 땅덩어리의 역사를 알리고 싶었고, 그것이 이 책을 쓰게 된 동기입니다.
[앵커]
그러면 지금의 모습을 띠고 있는 한반도는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습니까?
[인터뷰]
2억 5천만년전에 우리나라 땅이 세 덩어리로 나눠졌다고 생각합니다. 2억 5천만년전에 합쳐지면서 우리 한반도의 골격을 만들었는데 현재와 같은 한반도가 형성된 것은 동해가 형성되고 난 후입니다. 동해가 언제 형성됐냐하면 약 3천만년 전부터 시작되어서 동해가 완전히 바다로 형성된 것은 2천 4백만년 전쯤입니다. 지금 현재와 같은 한반도 모습은 2천 4백만년 전쯤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앵커]
지질조사 할 때 거창한 도구가 필요 없다고 책에서 설명합니다. 그렇다면 지질 조사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인터뷰]
지질조사는 암석을 만나면서 시작됩니다. 먼저 연구지역이 정해지면, 그곳의 암석을 자세히 관찰하여 기록하고 필요한 경우 암석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합니다. 그러므로 야외조사를 할 때 필요한 것은 지형도, 조사용 망치, 관찰사항을 기술하기 위한 노트, 돋보기, 카메라 등이면 충분하지요. 지질조사의 결과 만들어지는 것이 지질도인데, 지질도는 암석을 종류와 나이에 따라 구분한 지도라고 말할 수 있어요. 바꾸어 말하면, 지질도는 어느 지역 땅덩어리의 역사를 그래픽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께서 전국을 다니며 지질조...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YTN 사이언스] 지질학자의 한반도 탐험이야기 '10억 년 전으로의 시간 ... / YTN 사이언스](https://ricktube.ru/thumbnail/VWKWwGKskd0/hq720.jpg)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