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농사 노랑병 없이 이렇게만 짓자! 생강 웃거름 까지! | 농사 100단
Автор: 농사 100단_Yara Korea
Загружено: 23 апр. 2021 г.
Просмотров: 9 273 просмотра
생강농사 이렇게만 짓자! 핵심 4가지! | 농사 100단
이번 영상에서는 생강농사의 핵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생강 농사의 핵심 4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생강 웃거름의 중요성
2. 인산과 생강의 천근성
3. 배수와 피복
4. 뿌리썩음병(노랑병)
1. 생강 웃거름의 중요성
지난 시간에도 말씀드렸듯이 생강은 다비성 작물이지만 배수가 잘되는 토양을 선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비(밑거름)보다는 웃거름을 중점적으로 주어 적절한 시기에 충분한 양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연구자료에서도 생강에 웃거름을 중점적으로 시비하였을 때, 수확량이 300평당 21.2%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생강의 웃거름은 어떻게 주는 것이 더 효과적일까요?
생강의 양분 요구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생강은 웃거름을 통해 질소와 칼륨 그리고 칼슘을 많이 공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생강의 양분 요구도에서 인산의 수치가 굉장히 낮아보이지만 인산은 2mm 밖에 이동하지 못하고 작물의 인산 흡수효율이 10~20%이므로 충분히 공급해주어야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밑거름으로 인산을 모두 시비하는 한국농업 특성상 인산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차 웃거름으로 인산을 공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인산과 생강의 천근성
인산에는 수용성 인산과 구용성 인산이 있습니다.
수용성 인산은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만 금방 불용화되어 효과가 오래가지 못하고, 구용성인산은 늦게 녹기때문에 불용화가 적지만 너무 늦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용성인산과 구용성인산이 적당히 섞여있는 비료를 추천하며 추가적으로 불용화가 적고 효과가 오랫동안 나타나는 폴리인산을 추천드립니다.
생강은 뿌리의 길이가 약 25cm로 엄청난 천근성 작물입니다. 따라서 뿌리의 생육이 중요하며 생강의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도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배수와 피복
생강은 다습하거나 건조한 토양을 선호하지 않으므로 피복을 통해 수분관리를 반드시 해주셔야합니다.
서산시농업기술센터에서 피복 방법별로 생육과 수량 실험을 한 결과
볏집이 생육과 수량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비닐은 통기성이 부족해 과습할 수 있고 왕겨는 빗물에 쓸려내릴 수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4.뿌리썩음병(노랑병)
노랑병은 토양에 남은 균, 씨생강에 침투한 균이 물을 통해 전염됩니다. 따라서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전염이 줄어들고 차광막(비가림)재배시 비의 영향을 덜 받아 발병율이 낮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관리를 철저히하고, 차광막 설치, 칼슘공급을 통해 예방하며 토양살균, 종균 살균을 통해 균 사멸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이미 노랑병이 발생했다면 노랑병에 걸린 생강을 태우거나 전파될 수 없도록 격리시켜야하며, 이랑관수는 피해야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야라 웹사이트 또는 소셜미디어 채널에 방문해 주세요!
문의전화: 031-717-7475'
야라코리아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cxoMfd
야라코리아 웹사이트: https://www.yara.kr/
야라코리아 블로그: https://blog.naver.com/yarakorea
야라코리아 페이스북: / yarakorealimited

Доступные форматы для скачивания:
Скачать видео mp4
-
Информация по загрузке: